이미지 확대
![28일 오전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민주당 대전시당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 참석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5/03/28/20250328140542639741.jpg)
송 위원장은 이날 입장문을 통해 "국가 예산은 원칙과 기준에 따라 사용하는 것이지 쌈짓돈처럼 마구잡이로 쓰는 것이 아니다"라며 "이 대표의 국가예산에 대한 주먹구구식이고 근시안적인 태도에 유감을 표명한다"고 말했다.
송 위원장에 따르면 올해 본예산에 편성된 총 예비비는 약 2조4000억원이다. 당초 정부가 약 4조8000억원 규모를 제시했으나, 민주당의 일방 감액을 통해 절반 수준 편성에 그쳤다는 주장이다.
송 위원장은 "재난‧재해 상황에 사용할 수 있는 '목적 예비비'는 1조6000억원 정도인데 이 중 1조2000억원은 민주당이 일방적으로 고교무상교육 등 사업 소요경비로 지출하도록 확정해 실제 즉각 사용 가능한 목적 예비비는 약 4000억원 수준"이라고 강조했다.

송 위원장은 "각 부처 재난재해비는 9700억원이 아니라 총 9270억원이고, 이 중 즉각 가용 예산은 1998억원에 불과하다"며 "지난해 발생 재해복구비를 제외한 올해 순수하게 집행할 수 있는 예산은 5100억원이다. 이 중 농림축산식품부, 해양수산부의 1850억원은 가뭄, 태풍 등에 사용하도록 돼 있어 산불 등 사회재난에 사용이 불가능하다"고 지적했다.
이어 "산림청 예산 1000억원 중 786억원은 이미 재선충방재에 집행한 상황이고, 행정안전부와 환경부가 올해 이미 466억원의 예산을 집행한 바 있다"며 가용 가능한 재난재해비는 1998억원에 그친다고 설명했다.
국고채무부담 예산 1조5000억원에 대해선 "시설복구 등에만 사용 가능한 예산으로 재난피해 주민들을 위한 보상금이나 생계비 지급 등으로 활용할 수 없다"고 선을 그었다.
송 위원장은 "국고채무 부담행위는 사실상 '외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즉각 지급할 수 있는 예산이 아니라 외상거래를 할 수 있는 한도를 1조5000억원으로 설정한 것"이라며 "결국 국고채무부담은 '외상 공사'에 활용하는 것으로 현재 산불피해 지원을 감당하는 데 한계가 있다"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국민의힘은 이번 영남지역 대형 산불뿐만 아니라 혹시 발생할지도 모르는 재난‧재해에 대비해 예비비 2조원을 충분히 확보하자고 주장했고, 오늘 이 부분에 대해 정부와 긴밀히 협의해 나갈 예정"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현재 즉각 사용 가능한 각 부처 재난재해비 1998억원과 예비비 4000억원 등 약 6000억원도 이번 영남지역 산불 피해 지원을 위해 즉시 집행하겠다"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