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번 사업은 지난해 6월 발표된 ‘크루즈 관광 활성화 방안’의 핵심 과제인 ‘국내 모항·준모항 상품 선제적 육성’의 일환이다.
기존에는 크루즈 기항 중심의 산업 구조로 인해 관광객이 국내에서 소비할 수 있는 시간이 제한됐고, 이에 따라 지역경제에 미치는 파급 효과도 낮았다.
이에 정부는 크루즈 탑승 전후 국내 체류를 유도할 수 있는 모항·준모항 상품을 육성하고, 지역 소비지출을 확대하겠다는 방침이다.
이번에 추진되는 크루즈 준모항은 제주 강정항에서 시범 운영을 하며, 향후 제주항 등 다른 국내 크루즈항으로도 운영을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한편 문체부와 해수부는 해양·관광 산업 융합을 위해 과장급 인사를 전략적으로 교류했으며, 지자체와 한국관광공사, 항만공사 등과 지속적인 협업 체계를 구축하고 있다. 문체부는 제주를 포함한 국내 8개 권역의 해양관광 자원을 테마별로 발굴하고, 체류형 콘텐츠로 상품화해 지역 관광 활성화를 추진 중이다.
유인촌 문체부 장관은 “크루즈를 비롯한 해양관광은 새로운 지역관광 활성화의 핵심 요소라고 생각한다”라며 “관계부처, 지자체와 적극적으로 협력해 기항지 관광 확대, 해양관광테마 선정 등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해양관광 콘텐츠를 발굴하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강도형 해수부 장관은 “크루즈 준모항 확대는 지역의 소비지출 증가와 우리나라 크루즈 산업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견인할 것”이라며 “앞으로도 관계기관과 긴밀히 협력해 크루즈 관광이 지역경제의 새로운 성장축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