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번 사업에는 기후대응 도시숲, 자녀안심 그린숲, 학교숲, 가로수 녹화 등 다양한 유형의 도시숲이 포함돼 각각 지역 맞춤형 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지난 2022년 준공된 청리 ‘미세먼지 차단숲’은 상주교통안전체험교육센터 인근에 조성돼 차량 주행 시 발생하는 오염물질의 생활권 확산을 차단하고 있으며, 하자 보수까지 모두 완료돼 인근 미세먼지 저감에 실질적으로 기여하고 있다.
2024년에는 축산환경사업소 ‘기후대응 도시숲’이 준공돼 교목 1916본, 관목 1만305본, 초화 1만8020본이 식재됐으며, 사업소 내 미세먼지 차단은 물론 낙동면 지역 주민들의 생활환경 개선에도 긍정적인 효과를 주고 있다.
또한 상주시는 상산초등학교 어린이보호구역 내에 ‘자녀안심 그린숲’을 조성해 학생들의 통학로 보행 안전성을 높였으며, 주요 도로변 가로수 정비를 통해 도시미관 개선과 함께 생활밀착형 녹지공간도 지속적으로 확충해왔다.
‘도시숲’의 효과는 수치로도 입증된다.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 연구에 따르면 도시숲이 조성된 지역은 인접 도심 지역보다 PM10(미세먼지)은 25.6%, PM2.5(초미세먼지)는 40.9%까지 농도가 낮아진다.
또한 숲 1ha당 연간 약 168kg의 미세먼지와 6.9톤의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며, 여름철에는 주변보다 기온을 최대 7℃ 낮추고 습도를 20% 이상 증가 시켜 도심 열섬 현상 완화에 기여한다.
상주시 산림녹지과는 도시숲 확대를 통해 시민들의 정서적 안정, 건강 회복, 지역 커뮤니티 활성화 등 다양한 사회적 부가가치를 창출하고 있다.
2025년 현재 약 76억원의 예산이 도시숲 조성과 유지 관리에 투입되고 있으나 시민 체감도가 높은 녹색공간 수요에 비해 예산은 여전히 부족한 상황이다.
김국래 상주시 산림녹지과장은 “도시숲은 단순한 조경사업이 아닌 기후위기 시대에 시민의 건강을 지키는 공공 인프라”라며 “보다 안정적이고 지속 가능한 도시숲 관리를 위해 지속적인 예산 확대와 정책적 뒷받침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상주시는 앞으로도 녹지 예산 확충과 함께 도시 전역에 걸친 도시숲 확대 조성을 통해 시민 모두가 일상 속에서 숲의 혜택을 누릴 수 있는 건강한 녹색도시 구현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