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희스타힐스5차 - 분양광고  2025-03-19

트럼프 관세 위협에 구리값 '천정부지'…美서 올해 28% 급등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조재형 기자
입력 2025-03-31 15:49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WSJ "런던금속거래소와 비교해 전례없는 가격 격차"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사진=게티이미지뱅크]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위협 여파로 미국의 구리 가격이 천정부지로 치솟고 있다.
 
30일(현지시간) 미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미국의 구리 선물 가격은 지난 25일 파운드당 5.183달러로 지난해 5월에 기록한 최고가를 넘어섰다. 이후 28일에는 5.1125달러로 장을 마감해 올해 들어 28% 급등했다.
 
WSJ는 국제 기준 시세인 런던금속거래소 구리 가격이 파운드당 약 4.44달러로 13% 상승한 것과 대비된다면서 전례 없는 가격 격차라고 전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구리 수입이 미국 국가안보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라고 지시하며 관세 부과 가능성을 시사했다. 이어 이달 초에는 구리를 포함한 광물의 미국 내 생산량을 늘리기 위한 행정명령에도 서명했다.
 
WSJ는 미국 구리 가격 급등과 관련해 “이는 관세 위협만으로 (미국) 국내 제조업체의 비용이 상승하고 있다는 신호”라고 해석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자세한 내용을 밝히지 않았지만 구리 수입에도 관세를 부과할 수 있다는 불안감에 구리 공급업체와 구리를 쓰는 미국 제조업체들이 서둘러 구리 비축에 나섰다는 것이다.
 
블룸버그통신은 “트레이더들은 새로운 계약을 체결해 구리를 미국으로 들여와 관세 부과 전에 통관을 마치는 것뿐만 아니라, 이미 예정된 선적 물량도 앞당겨 운송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구리 수입에 관세 부과를 고려하는 배경에는 미국 구리 산업을 되살리고 공급망을 확보하려는 것이라고 블룸버그는 분석했다.
 
구리는 전 세계적으로 가장 널리 사용되는 금속 중 하나로 전선, 배관, 전기차 등 다양한 산업에 필수적이다.
 
미 정부 관계자들은 글로벌 시장에서의 덤핑과 공급 과잉이 미국 내 구리 생산에 악영향을 미쳤으며, 이로 인해 무기 제조와 같은 중요한 산업이 해외 수입에 의존하게 됐다고 주장하고 있다고 블룸버그는 전했다.
 
미 지질조사국에 따르면 미국은 지난해 85만t의 구리를 생산했지만, 정제 구리 소비량은 160만t에 달했다. 현재 미국의 구리 수입량 중 38%는 칠레, 28%는 캐나다, 8%는 멕시코에서 공급되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