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속적으로 새로운 결과물을 만들어 내야하는 기획은 결코 쉽지 않아 보인다. 축적한 아이디어를 사용하는 등 소모적인 활동으로써 기획을 하시면서 지친 경험은 없는지, 꾸준하게 일을 하는 팀장님만의 방법이 있나
- 굉장히 지치는 일이다. 웹툰작가들의 인터뷰를 봤는데 뇌를 갉아먹는 직업이라고 하더라. 작가나 PD 등 콘텐츠를 제작하는 분들은 모두 같은 고민이 있을 거라고 생각한다. 저도 아이디어를 짜는데 굉장히 스트레스를 많이 받습니다만 그래서 최대한 게을러지려고 노력하고 있다. 시간이 많고 여유가 있어야 좋은 아이디어가 떠오르는 것 같다.
시대가 흐르고 기술이 발전할수록 트렌드도 바뀌는데 트렌드를 배우기 위해서 하는 것은 무엇이며 감각을 유지하기 위해서 어떤 노력들을 하고 있나
- 트렌드는 계속 바뀌기 때문에 유튜브를 비롯해서 각 커뮤니티들을 수시로 모니터링하고 있다. 요즘 뭐가 핫한지 파악해야 콘텐츠 각을 볼 수 있다. 그리고 뭐를 불편해 하는지도 체크한다. 그래야 나락을 피할 수 있지 않을까.
김선태 팀장의 콘텐츠에 대해서 이해를 못하는 상사로 인해 주무관 당시 상처를 받았었다고 들었다. 그런 상사들을 보면서 김선태 팀장은 어떤 상사가 되고 싶었나. 좋은 상사란 뭐라고 생각하나
- 저도 지금은 확실하게 말하지만 나중엔 바뀔 수도 있지 않을까. 그래서 저는 아무소리도 안 할 거다. 업무에 따라 다르겠지만 만약 창조성이 필요한 업무라고 한다면 절대 개입해서는 좋은 결과가 나오지 않기 때문이다. 사공이 많으면 배가 산으로가는 것이다. 그것이 대표적으로 적용되는 것이 홍보업무인 것 같다.
2023년 진행된 DDP 강연에서 환경이 중요하다는 말씀에 크게 공감 했다. 업종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사람 간의 일이기 때문에 환경을 구성하는 사람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특히 수직적인 업무 환경에서 우리는 어떻게 슬기롭게 직장생활을 하면 좋을지 팀장님의 노하우와 일화가 궁금하다.
- 중요한 것과 그렇지 않은 것을 구분해야 된다. 별로 중요하지 않는 부분들까지 제 고집만 피우면 조직과 융화될 수 없다. 양보할 것은 양보하고 최대한 조직친화적으로 가되 제가 중요하게 생각하는 본질들은 타협해서는 안된다. 그래야 성공할 수 있을 거다. 보통 누군가를 설득하는 것은 불가능 하다. 용서가 더 빠르다.
하루면 해결되는 잔잔바리 민원 50개VS1년째 해결 안되는 악성민원 1개 중 어떤 걸 선택할건가. 그리고 그 이유는 무엇인가
- 잔잔바리가 훨씬 낫다. 악성민원은 여려분의 상상을 초월한다.
사람들이 전혀 알지 못하는 공무원이 하는 일, 이면의 모습이 궁금하다
- 동원이 많다. 비가 오면 비상, 태풍와도 비상, 폭염도 비상, 가뭄도 비상, 눈이 와도 비상, 코로나도 비상, 온갖 종류의 비상근무가 많다.
본인의 일 외에 해야하는 것들이다. 이런 것이 좀 눈에 보이지 않아서 아쉽다.
요즘은 퍼스널브랜딩 시대라서 자기 PR이 중요한 시대인데 김선태 팀장에게 홍보를 잘한다는 건 어떤 의미인가. 그리고 충추시 유튜브와 김선태 팀장님이 사람들에게 각인될 수 있었던 결정적인 계기를 뭐라고 생각하시나
- 사실 일반 공무원에게 본인을 PR하는 것은 큰 의미가 없을 수도 있다. 하지만 제가 각인되었던 계기는 아무래도 공무원이 이런 영상을 만들 수 있나? 싶은 영상들이 올라갔기 때문인 것 같다.
요즘 가장 고민하고 있는 건 무엇인가
- 늘 같은 고민은 아이디어를 짜는 거다. 특별히 요즘 가장 고민이 되는 건 폼을 유지해야한다는 의무감이 있다. 잘됐던 저와 계속 싸우고 있는 것이다. 물론 뭐 지금 잘 안 되고 있는 것은 아니지만, 성장세가 꺾인다면 시청자들에게 잊혀지기 쉬운 곳이 유튜브 이기 때문에 항상 긴장하고 있다.
공무원으로 남기에는 입담이 너무 아깝다는 반응들이 많은데 100세 시대인 요즘, 먼 훗날 하고 싶은 게 있나. 요즘 김선태의 꿈이 궁금하다
- 먼 훗날? 음 지금 내일 콘텐츠도 못짜고 있어서, 생각해 본적이 없지만 만약에 공무원이라면 공무원인 대로 다른 분야에 있다면 다른 분야에 있는 대로 사람들에게 행복을 주면서 살고 싶다. 그러려면 제가 먼저 행복해야하지 않을까. 저의 행복이 가장 중요한 것 같다.
마지막으로 자신만의 콘텐츠로 사람들에게 행복을 주고 큰 인기를 얻고 싶어하는 수많은 사람들에게 한말씀 해달라
- 일단 모두가 성공할 순 없다. 성공의 상당부분은 운이라고 생각한다. 저도 운이 좋았고. 근데 운 때문이라고 그냥 앉아있을게 아니라 나만의 운을 찾아서 새로운 도전을 하시기 바란다. 어떤 콘텐츠가 잘 될지는 아무도 모른다. 그래서 일단 시작하는 것이 중요하다. 지금 시작해라.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