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희스타힐스5차 - 분양광고  2025-03-19

6·25 참전 故김영기 하사 유해, 72년만에 아들 품으로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전성민 기자
입력 2025-04-01 11:52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유해발굴사업 시작된 2000년 강원 철원서 발굴된 유해 신원확인

  • 아들 김성록씨 "죽기 전 모셨으면 하는 희망으로 살았다"

 
고故 김영기 하사 유해 사진국방부
고(故) 김영기 하사 유해 [사진=국방부]
 
어린 아들을 두고 6·25전쟁에 참전한 고(故) 김영기 하사 유해가 72년 만에 집으로 돌아와 아들 품에 안겼다.
 
1일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에 따르면 2000년 9월 강원 철원군 근동면 일대에서 발굴한 유해가 국군 제8사단 소속 김 하사인 것으로 확인됐다.
 
해당 유해는 유해 발굴 사업이 시작된 첫해에 나온 국군·유엔군 유해 334구와 유품 9370점 중 하나며 이 중 신원이 확인된 건 김 하사가 네 번째다.
 
김 하사 신원 확인은 2015년 지역별 전쟁 역사에 기초해 만들어진 병적부와 전사자 명부를 살펴보던 국유단 탐문관이 유가족 소재를 추적해 확보한 유전자 시료를 통해 이뤄졌다.
 
국유단은 2021년 3월부터 발굴된 지 오래된 유해를 대상으로 유전자 재분석을 진행 중이었는데 김 하사 유해도 재분석 중 유족 유전자와 부자 관계가 성립되면서 신원이 확인됐다.
 
이로써 그동안 발굴된 국군 전사자 유해 1만1000여 구 중 신원을 확인해 가족 품으로 모신 분은 총 250명으로 늘었다.
 
1931년 5월 강원 정선에서 태어난 김 하사는 1953년 1월 부인과 태어난 지 8개월 된 갓난아기를 남겨두고 입대했다. 국군 제8사단 소속으로 여러 전투에 참여하다 정전 10여 일 전 발발한 1953년 7월 금성지구 전투에서 전사했다.
 
국유단은 이날 광주 동구에 위치한 김 하사 아들 김성록씨 자택에서 호국의 영웅 귀환 행사를 열었다.
 
김씨는 “아버지를 찾지 못했다는 연락을 받을 때마다 죽기 전에만 모셨으면 좋겠다는 희망을 갖고 있었다”며 “생전 어머니께서 주신 아버지 사진이 유해를 찾기 위해 노력할 수 있었던 원동력이었다”고 말했다.
 
국유단은 6·25 전사자 신원 확인을 위해 전국에서 유전자 시료 채취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전사자 친·외가 8촌까지 신청 가능하며, 거동이 불편하거나 생계로 인해 방문이 어려우면 국유단 대표번호로 전화하면 된다. 전사자 신원이 확인되면 포상금 1000만원을 지급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