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을 '큰 핵 국가(big nuclear nation)'로 지칭한 데 대해 "북한 비핵화는 한국과 미국, 국제 사회 일치된 목표"라고 거듭 강조했다.
통일부 당국자는 1일 기자들과 만나 관련 질문에 "북·미 대화가 북한의 비핵화에 도움이 되는 방향으로 진행된다면 당연히 환영할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또 "'핵 무기 국가(nuclear weapon state)'가 공식"이라며 "그 외엔 없다. 이스라엘·인도·파키스탄을 지칭하는 '핵 보유국(nuclear power)'이라는 표현이 있지만 공식 용어는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31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취재진과 만나 김 위원장과 소통 사실을 밝히며 "그것은 매우 중요하다. 알다시피 그는 큰 핵 국가이고, 매우 똑똑한 사람"이라고 언급했다.
아울러 '김 위원장에게 연락(reach out)할 계획이 있느냐'는 질문에는 "그렇다(Well, I do)"며 "어느 시점에 무엇인가를 할 것"이라고 답했다. 다만 트럼프 대통령은 그 '소통'이 무엇인지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밝히지 않았다.
양무진 북한대학원 대학교 교수는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을 두고 "트럼프의 지시하에 비공식적으로 리처드 그레넬 대북 특사나 알렉스 웡 국가안보수석부보좌관 등이 뉴욕북한대표부와 전화나 이메일로 접촉할 가능성이 충분하다"며 "아직 대면 접촉으로의 발전 징후는 보이지 않는다"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트럼프 대통령이 지금 시점에서 대북 메시지를 날린 것은 북한에 좀 더 적극적인 대화를 촉구하는 성격"이라며 "5월 전승절 계기 김 위원장의 방러설, 미국의 대(對)중 견제에 대한 북·중 협력설 등을 관리하려는 제스처일 가능성도 있다"고 평가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