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美전략지침 관련 "한·미, 한반도 평화위해 주한미군 역할 확고"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최윤선 기자
입력 2025-04-01 15:48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국방력 지속 강화 위해 국방비 증액"

  • WP "美 국방부, 중국 대만침공 저지에 최우선 대응" 내부문건 보도

피트 헤그세스 미국 국방부 장관 사진AFP연합뉴스
피트 헤그세스 미국 국방부 장관 [사진=AFP연합뉴스]

정부는 미국 국방부가 내부 문건 '잠정 국방전략 지침'(Interim National Defense Strategic Guidance)에서 중국의 대만 장악 시도를 기정사실화하고 이를 저지하는 것을 핵심 목표로 설정한 것과 관련, "미국 국방부의 공식 입장으로 확인되지 않은 사항에 대해 우리 정부가 언급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고 전했다.

외교부 당국자는 1일 "한·미 양국은 한반도 평화와 안정을 위한 주한미군의 역할에 대해 확고한 인식을 공유 중이며, 앞으로도 굳건한 연합방위태세를 유지하는 가운데 미 측과 긴밀히 소통해 나갈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이어 "정부는 엄중한 안보 상황에서 우리 국방력을 지속적으로 강화 시켜 나가기 위해 필요한 국방비를 증액해 오고 있다"고 밝혔다.

워싱턴포스트(WP)는 지난달 30일(현지시간) 미 국방부가 중국 견제를 골자로 하는 '국가방위 잠정 전략 지침'을 마련했다고 보도했다. 트럼프 2기 행정부의 국방전략을 담은 9쪽짜리 비밀 지침서로, 중국의 대만 침공 위협에 따른 미군의 대응이 집중적으로 담겼다.

이번 지침서는 중국의 대만 침공 가능성을 다른 어떤 위협보다 우선적으로 대비해야 할 유일한 시나리오로 상정했다. 트럼프 1기 행정부와 전임 바이든 행정부도 중국을 미국의 최대 위협으로 규정했지만 이번처럼 미국의 모든 군사적 역량을 중국의 대만 침공 저지에 두겠다고 밝힌 것은 이례적이다.

특히 한국 입장에서 눈여겨 볼 부분이 많다. 이번 문건대로라면 주한미군의 주요 역할을 북한이 아닌 중국 대응으로 전환하는 '주한미군 역할조정론'이 현실화하는 시나리오를 간과할 수 없어 보이기 때문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