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 시내 주요 시립 문화시설이 매주 금요일 저녁 9시까지 개방된다.
서울시는 ‘문화로 야금야금(夜金)’ 사업을 본격 추진한다고 1일 밝혔다. 시민들이 금요일 저녁, 퇴근 후에도 여유롭게 문화시설을 즐길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다.
문화로 야금야금은 지난해 ‘서울 문화의 밤’이라는 이름으로 처음 시작됐다. 올해는 밤 ‘야(夜)’와 금요일의 ‘금(金)’ 자를 따 사업명을 새롭게 바꾸고 프로그램 구성도 개선했다.
우선 관람객 수와 시설 특성을 고려해 주요 문화시설에서 프로그램을 집중 운영한다. 프로그램 운영 시설은 서울역사박물관, 한성백제박물관, 서울공예박물관, 서울시립미술관, 서울도서관, 남산골한옥마을, 운현궁, 세종충무공이야기 등 총 8곳이다.
이중 서울역사박물관, 서울시립미술관, 서울공예박물관, 한성백제박물관에서는 격월로 매월 첫째 주 금요일마다 두 곳씩 돌아가며 특별 문화프로그램을 정기 운영한다. 시민 참여를 유도하는 퀴즈 이벤트, 포토존, 공예체험 등 참여형 프로그램도 확대한다. 음악공연, 역사강연, 전시, 미술·서커스 등 다양한 문화콘텐츠도 준비돼 있다.
올해 첫 특별 행사는 오는 4일 저녁 7시 서울역사박물관과 한성백제박물관, 서울도서관에서 열린다. 서울역사박물관 로비에서 ‘현악기와 팝페라’, 한성백제박물관 광장에서 ‘퓨전국악과 국악비보잉’ 공연이 펼쳐질 예정이다. 서울도서관에서는 ‘건강한 몸과 마음’을 주제로 정신과 의사이자 ‘나는 왜 나를 함부로 대할까’의 저자인 문요한이 함께하는 방구석 북토크도 개최한다.
서울 문화의 밤 사업의 일환인 ‘야간공연관람권’은 올해도 계속 운영된다. 이는 매주 금요일 대학로 우수 공연을 1만원에 관람할 수 있도록 해 공연계 전반의 활성화를 돕는 제도다. 올해는 5월부터 운영하며 대상 작품은 추후 누리집을 통해 확인하면 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