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콘텐츠 세계적 성장…멀티미디어 서비스 수지 12억 '흑자'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기수정 기자
입력 2025-04-03 08:21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문광연, 콘텐츠산업 동향 인덱스: 콘텐츠 분야 서비스 무역 발간

사진한국문화관광연구원
[사진=한국문화관광연구원]
K-콘텐츠의 영향력이 날로 커지고 있다.

한국문화관광연구원(원장 김세원)이 한국은행의 '지식 서비스 무역 통계'를 바탕으로 분석한 '콘텐츠산업 동향 인덱스'에 따르면, 영상·음악 서비스 등 멀티미디어 서비스 부문 수지가 지난해 기준 11억9000만 달러 흑자를 기록했다. 

특히 저작권 수지는 2023년부터 제작 서비스 수지 흑자 규모를 상회했다. 콘텐츠 제작역량을 넘어 콘텐츠 지식재산권(IP) 글로벌 경쟁력을 보여주는 결과다.

지난해에도 콘텐츠 산업 서비스 수출액은 전년 대비 15.9% 증가했다.

콘텐츠산업 특수 분류에 따른 업종별 서비스 수출 통계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콘텐츠산업 수출액은 98억5000만 달러로, 2010년부터 최근까지 연평균 16% 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권역별 수출 비중은 아시아 57.1%, 북미 26.1%, 유럽 16.2%로 확인됐다. 주요 수출 대상국은 미국 26.0%, 중국 20.8%, 일본 10.7%, 영국 10.6%였다.

특히 최근 15년간 유럽권과 북미권의 변화가 눈길을 끌었다.

권역별 수출 연평균 증감률을 살펴보면 유럽 18.8%, 북미 17.9%, 아시아 14.8%순으로 나타났고, 국가별로는 영국 25.1%, 미국 18.1%, 중국 14.8%, 일본 9.1%를 기록했다.

콘텐츠 장르별로 보면, 수출 비중은 게임산업(52.1%)이 가장 컸고 연평균 수출 증감률은 만화산업(46.6%), 영화산업(29.0%), 음악산업(27.7%)순으로 높았다. 

김세원 원장은 “K-콘텐츠는 이제 국내를 넘어 세계적으로 경쟁력을 갖춘 산업으로 성장해 아시아를 비롯한 북미, 유럽 등 글로벌 시장에서 지속적으로 확장되고 있다”며 “정책 방향을 모색하는 데 유용한 자료가 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한편 연구원의 '콘텐츠산업 동향 인덱스: 콘텐츠 분야 서비스 무역' 전문은 연구원 누리집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