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양자기술이 국가 핵심 산업으로 급부상함에 따라 서울시가 양자산업 지원 조례를 긴급 제정하고 연말까지 90억원을 집중 투입시키기로 했다.
또한 ‘ICT 강국’이란 공통분모를 갖고 있는 서울시와 핀란드가 3일 머리를 맞대고 동대문구 서울바이오허브에서 '서울-핀란드 퀀텀 이노베이션 포럼'을 열었다.
양자 기술은 미래 기술 패권을 좌우할 ‘게임 체인저’로 컴퓨터, 통신, 센서 등과 접목해 국방, 에너지, 의료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는 차세대 핵심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지난해 세계 양자 기술 시장 규모는 약 15조1848억 원으로 잠정 집계됐지만, 연평균 21.3%의 성장률을 기록해 2031년에는 58조6055억원에 이를 것으로 예측됐다. 특히, 양자통신과 양자 센싱(sensing)은 이른 시간 안에 상용화 가능성이 높으며, 양자컴퓨팅의 경우 통신 및 센싱 기술과의 상호 연계를 통해 점진적으로 산업 전반에 걸친 확산이 전망되고 있다.
서울시와 주한핀란드대사관, 미래양자융합포럼, 한국과학기술연구원(키스트·KIST)이 공동 주최한 이날 포럼은 서울과 핀란드의 양자산업 육성전략과 우수기술을 소개하고 교류했다.
글로벌 양자컴퓨팅 분야 유니콘기업 블루포스(Bluefors), 양자컴퓨팅 양산화 성공 기업 IQM, 최근 양자 네트워크 사업으로 영역을 넓힌 노키아(Nokia) 등 핀란드 기업·기관 12개사가 참석했다. 서울에서는 SDT, 큐노바, 트루픽셀, 서울시립대, 키스트 등이 함께 했다.
포럼은 주한핀란드대사관에서 양자 생태계 및 국제협력 지원사업을 발표했으며, 서울시는 양자기술 육성사업을 발제했다. 이어 핀란드·서울 기업 및 연구기관은 양자 기술을 소개했다.
특히 서울시는 체계적인 양자산업 육성 기반을 마련하고자 지난달 '양자산업 지원 조례'를 제정했으며 올해 관련 예산을 투입시켜 △혁신기술개발 △산업전문 인재양성 △인프라 확충 및 생태계 확산 등 관련 산업 지원에 나섰다. 정부는 올해 양자산업에 관련예산 1981억원을 편성하고 지방 정부를 지원하고 있다.
아울러 양자 기반 기술을 가진 서울 소재 중소기업이 글로벌 산업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지난해 신설한 서울형 R&D 양자 분야 지원사업을 올해 더 확대해 오는 16일까지 공모를 진행한다.
양자 기술 사업화 촉진을 위해 키스트와 지난해부터 시작한 프로그램인 서울퀀텀캠퍼스(SQC)는 올해도 계속 운영한다.
산업 전문과정을 편성하고 대학생들을 위한 겨울방학 양자캠프를 운영할 예정이다.
양자산업 육성을 위한 거점 공간도 조성한다.
홍릉 R&D지원센터를 활용해 2027년 상반기 개관을 목표로 '양자기술융합지원센터'(가칭)를 5월에 착공한다.
지하 2층∼지상 3층, 2128㎡ 규모로 조성될 이 시설에는 양자소자를 부품으로 만들기 위한 양자패키징실과 기업 입주공간, 창업예비자와 국내·외 연구진을 위한 네트워크 공간이 들어선다.
서울 소재 기업·대학의 퀀텀 전시회 참가를 적극 지원하고 포럼과 방학 기간 퀀텀 특강도 마련할 계획이다.
오는 6월 개최되는 '2025 퀀텀코리아', '2025 스마트테크코리아'에 서울관을 마련해 전시 참가를 희망하는 서울 소재 기업·기관에 참가 부스를 지원한다.
10월에는 인공지능(AI), 바이오, 금융산업에서의 양자기술 응용 사례를 공유하고 서울의 양자산업 발전 방안을 마련하는 '서울퀀텀플랫폼 포럼'을 개최한다.
주용태 서울시 경제실장은 “양자 기술은 AI, 바이오와 함께 ‘3대 게임체인저’로 꼽힌다"며 “양자기술산업 육성 조례 제정을 필두로 산학연과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R&D 투자, 인재 양성 등에 힘써 다가올 퀀텀 시대에 선도적으로 대응하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