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스코코리아가 인공지능(AI) 시대에 발맞춰 보안과 고객 경험 혁신을 위한 새로운 전략을 제시하며, 국내 기업들의 디지털 전환을 본격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시스코는 3일 서울 강남구에서 열린 '시스코 커넥트 코리아 2025' 행사에서 AI 기술을 중심으로 한 보안 플랫폼과 지능형 고객 응대 시스템을 공개했다.
이번 행사의 핵심은 두 가지다. 하나는 AI 기술을 악용한 위협에 대응할 수 있는 보안 솔루션, 다른 하나는 고객 상담과 서비스 응대를 보다 똑똑하게 바꿔줄 AI 기반 고객지원 기술이다.
시스코는 이날 최신 AI 보안 솔루션인 'AI 디펜스'를 처음으로 공개했다. 이 솔루션은 기업들이 AI 기술을 도입하면서 겪을 수 있는 보안 위협을 사전에 탐지하고, 실시간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특히 AI 디펜스는 지난해 발표된 시스코의 차세대 보안 프레임워크 하이퍼실드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 하이퍼실드는 네트워크 전체에 걸쳐 보안 기능을 분산 배치해 위협을 빠르게 차단할 수 있도록 한 구조로 일종의 보안 설계도(아키텍처) 역할을 한다.
아난드 라가반 시스코 AI 제품 총괄 부사장은 "AI는 이제 거의 모든 기업에서 핵심 기술로 활용되고 있다"며 "AI 디펜스는 AI 모델이 실제 업무에 사용되기 전부터 보안 위험을 미리 점검하고, 운영 중에도 외부 애플리케이션과 연결될 때 발생할 수 있는 위협을 막아주는 통합 보안 솔루션"이라고 설명했다.
이 솔루션은 세계적으로 통용되는 보안 기준도 충실히 반영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웹 보안 분야의 국제 프로젝트인 오픈웹 애플리케이션 보안프로젝트(OWASP)의 LLM10(대형 언어 모델 취약점 10가지), 미국 국립표준기술연구소(NIST)의 AI 리스크 관리 프레임워크를 준수해 설계됐다. 기술력뿐 아니라 신뢰성과 글로벌 기준 충족이라는 점에서 의미 있는 성과로 평가된다.

이날 행사에서는 고객 응대 기술의 진화를 보여주는 '웹엑스 AI 에이전트'도 함께 소개됐다. 시스코는 기존의 단순한 챗봇을 넘어, 자연스러운 대화와 정밀한 의도 파악이 가능한 AI 기반 고객지원 시스템을 개발해 기업용 커뮤니케이션 플랫폼 웹엑스에 적용했다.
데이비드 코벤트리 시스코 APJC(아시아·태평양·일본·중국) 협업 총괄은 "웹엑스 AI 에이전트는 고객의 질문을 이해하고, 그에 맞는 답변을 자연스럽게 제공할 수 있다"며 "기존 시스템과도 연동돼 실제 상담 업무를 자동화하는 데 큰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 에이전트는 현재 9개 언어를 지원하며, 다음 분기부터 한국어도 추가될 예정이다. 시스코는 대기업은 물론, 중소기업이나 소규모 매장에서도 고객 응대 자동화를 쉽게 도입할 수 있도록 문턱을 낮추겠다는 전략을 내세웠다.
현장에서 공개된 데모 영상에서는 고객이 "꽃을 사고 싶은데 정확한 이름을 모르겠다"고 말하자 AI 에이전트가 대화를 이어가며 꽃 종류를 파악하고 주문을 완료하는 장면이 소개됐다. 이런 기능은 고객 응대 시간을 줄이고 상담 품질도 높이는 데 큰 도움이 될 수 있다.
이날 행사에서는 시스코의 글로벌 AI 전략과 인프라 비전도 공유됐다. 기조연설에 나선 칼 솔더 시스코 최고기술책임자(CTO)는 "AI의 잠재력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안전하고 유연한 인프라가 필요하다"며, 시스코가 제공하는 네트워크와 보안 기반 기술을 소개했다.
이어진 패널 세션에는 김유원 네이버클라우드 대표, 정우용 삼성SDS SCP사업팀 팀장 등이 참석해, 시스코와 협업을 통해 이뤄낸 AI 보안 및 고객 경험 혁신 사례를 공유했다. 실제 산업 현장에서 적용된 사례를 중심으로 한 발표는 행사 참석자들의 높은 관심을 끌었다.
시스코코리아는 앞으로도 보안과 고객 경험을 아우르는 혁신 기술을 지속적으로 선보이며, 기업의 디지털 경쟁력 강화에 핵심 파트너로 자리매김하겠다는 계획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