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성 울린 관세戰] 美 상호관세 직격탄 맞은 亞 "이제 中 저가공세 고민해야"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이은별 기자
입력 2025-04-03 18:12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중국 54%, 베트남 46% 적용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일현지시간 워싱턴DC 백악관 로즈가든에서 국가별 상호관세 부과 방안을 발표하고 있다 사진로이터·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일(현지시간) 워싱턴DC 백악관 로즈가든에서 국가별 상호관세 부과 방안을 발표하고 있다. [사진=로이터·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상호관세 공격에 직격탄을 맞은 아시아 대부분 국가들이 이제는 중국산 저가 공세를 우려해야 하는 상황에 놓여다고 로이터통신이 2일(현지시간) 평가했다. 
 
로이터에 따르면 주요 아시아 국가들 중 한국은 26%의 관세를 부과받은 가운데 일본, 브루나이, 말레이시아(24%)보다는 다소 높지만 중국(54%, 추가관세 포함), 베트남(46%), 태국(37%), 인도네시아, 대만(32%), 인도(27%) 등 아시아 주요국들에 비해서는 낮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로이터통신은 이른바 베트남과 같이 ‘차이나 플러스 원’ 전략의 수혜를 입은 여러 동남아시아 국가들의 피해가 클 것이라고 분석했다. '차이나 플러스 원' 전략은 글로벌 기업들이 중국 리스크를 낮추기 위해 생산 기지를 중국뿐만 아니라 다른 곳에도 같이 설치하는 전략을 의미한다. 

인도 역시 이번에 27%의 비교적 낮은 관세율을 적용받았다. 이에 따라 제조업 확장을 추진하는 인도에는 이번 조치가 오히려 기회가 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중국의 높은 장벽과 미국의 상대적으로 완화된 관세율이 맞물리면서 인도가 저비용 생산기지라는 대안이 될 가능성이 크다. 다만, 글로벌 기업들은 트럼프 행정부의 추가 무역 정책을 지켜본 후 공급망 조정을 검토할 것으로 예상된다.

24%의 상호관세가 적용된 일본은 주요 아시아 국가들 중 낮은 수준이지만 그동안 관세 면제를 위해 끈질기게 노력해 온 것에 비하면 실망스러운 결과라는 관측이다. 이에 이날 일본 정부는 “지극히 유감”이라며 지속해서 미국에 제외를 요청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아시아 각국은 상호관세 발표 이후 대체로 미국 측과 협상을 통해 문제를 풀어나가겠다는 자세이지만, 트럼프 대통령이 요구하는 무역 및 안보 조치가 강경한 만큼 협상 성공 가능성은 매우 낮다고 로이터는 평했다. 아울러 아시아 국가들은 이제 값싼 중국산 제품이 자국 산업에 미칠 충격을 완화하기 위해 보호무역 장벽을 세울 것인지 고민해야 하는 상황에 직면했다는 관측이다.

따라서 로이터는 “아시아에는 더 이상 안전한 항구가 없으며, 관세 폭풍이 이미 덮쳤다”고 지적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