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성사 직전까지 도달한 중국계 동영상 플랫폼 틱톡의 미국 내 사업권 거래가 중국의 반대로 보류됐다. 중국은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정책 발표 후 이에 대한 협상이 이뤄지기 전까지 틱톡 거래를 반대한다는 입장이다.
로이터통신은 4일(현지시간) 소식통을 인용해 틱톡의 미국 내 사업권을 미국에 기반을 둔 새로운 회사로 분리하는 거래가 중단됐다고 보도했다. 거래 보류의 이유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에 반발한 중국 정부의 반대 때문으로 전해졌다.
틱톡은 이른바 '틱톡 금지법' 때문에 미국에서 퇴출 위기에 처해 있다. 틱톡의 모회사인 바이트댄스가 미국 사업권을 미국 기업에 매각하도록 규정한 법이다. 법이 정한 매각 시한은 1월 19일이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행정명령을 통해 틱톡 금지법 시행을 75일간 유예한 상태다.
이후 틱톡과 미국 투자자들은 사실상 협상을 마무리했다. 협상의 골자는 미국 투자자들이 미국에 기반을 둔 새로운 회사의 지분을 절반 이상 보유하고, 틱톡의 모회사인 바이트댄스가 20% 미만의 지분을 보유하는 것이다. 미국 정부도 이 같은 협상 결과에 동의한 것으로 전해졌다.
그러나 중국은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 발표 후 이 문제에 대해 미국과 협상을 하기 전까지 틱톡에 대한 거래를 승인하지 않겠다는 방침을 정했다.
바이트댄스는 성명을 통해 "미국 정부와 여전히 협의 중이지만, 아직 합의에 도달하지 못했고 주요 쟁점에 대해 이견이 있다"며 "중국 법률에 따라 모든 합의는 심사 절차를 거쳐야 한다"고 밝혔다.
미국 주재 중국대사관은 성명을 통해 "중국은 기업의 정당한 권리와 이익을 존중하고 보호한다. 시장경제의 기본 원칙을 위반하는 행위에 반대한다"고 밝혔다.
중국 정부의 승인 거부 방침에 대해 트럼프 대통령은 소셜미디어를 통해 "중국과 협상을 계속하기를 바란다"며 "중국은 미국의 상호관세에 대해 매우 불만이 많은 것 같다"고 밝혔다.
트럼프 행정부는 중국산 수입품에 대해 34%의 상호관세를 포함해 총 54%의 관세를 부과할 방침이다.
다만 트럼프 대통령은 앞서 틱톡 매각 거래 성사를 위해 중국에 대한 관세를 낮출 의향이 있다고 언급했다.
이와 함께 트럼프 대통령은 틱톡 금지법 시행 유예기간을 추가로 연장하겠다고 밝혔다. 틱톡 금지법 시행 유예기간은 이번 주말 만료될 예정이었지만, 거래가 보류됨에 따라 추가로 시간을 주겠다는 취지다. 추가 연장 기간 만료 시점은 6월 중순이 될 것으로 전해졌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