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 이번주 대통령 관저 퇴거 전망…"청년 여러분 곁 지키겠다"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정해훈 기자
입력 2025-04-06 15:49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서초동 사저 복귀 예상…다른 장소 가능성도

  • '국민변호인단'에 입장…"우리 미래 밝을 것"

헌법재판소가 윤석열 전 대통령의 파면을 선고한 지난 4일 윤 전 대통령의 사저가 있는 서울 서초구 아크로비스타의 모습 사진연합뉴스
헌법재판소가 윤석열 전 대통령의 파면을 선고한 지난 4일 윤 전 대통령의 사저가 있는 서울 서초구 아크로비스타 들머리. [사진=연합뉴스]

헌법재판소에서 파면 결정을 받은 윤석열 전 대통령이 이번 주 서울 용산구 한남동 대통령 관저에서 떠날 것으로 예상된다. 이후 민간인 신분으로 지지 세력을 향해 이른바 '사저 정치'를 펼칠 전망이다.

6일 정치권에 따르면 윤 전 대통령은 파면 사흘째인 이날 관저에 머물면서 퇴거를 준비하고 있다. 탄핵 인용 이후 관저를 비워야 하는 시기가 명시적으로 규정된 것은 없지만, 이번 주 중후반이 될 것으로 보인다. 

윤 전 대통령 부부는 취임을 전후해 살았던 서울 서초구 서초동 아크로비스타 사저로 돌아갈 가능성이 크다. 윤 전 대통령은 지난 2022년 5월 취임한 이후에도 6개월 동안 서초동 집에서 용산 대통령실로 출퇴근했다. 

다만 서초동 사저가 주상복합으로 경호동 설치가 쉽지 않고, 윤 전 대통령 부부가 키우는 반려동물은 고려해야 할 요소다. 이에 따라 이들 조건을 충족할 수 있는 다른 장소를 물색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대통령경호법 4조 1항 3호를 보면 대통령은 퇴임 후 10년간 경호를 받을 수 있고, 임기 만료 전에 퇴임하면 경호 기간은 5년으로 한다. 이때에도 고령 등의 사유로 필요하다고 인정되면 5년 더 경호를 받을 수 있다.

특히 윤 전 대통령이 관저에서 나올 때 지지자들을 상대로 별도의 메시지를 낼 것으로 예상된다. 윤 전 대통령은 파면 선고일인 4일에 이어 이날 변호인단을 통해 입장을 밝히면서 사저에서도 계속해서 영향력을 끼칠 의지를 내비쳤다. 

윤석열 전 대통령은 자신을 지지해 온 단체인 '국민변호인단'에 "청년 여러분께서 용기를 잃지 않는 한 우리의 미래는 밝을 것"이라며 "저는 대통령직에서는 내려왔지만, 늘 여러분 곁을 지키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2월 13일 저녁 청계광장을 가득 메웠던 여러분의 첫 함성을 기억한다"며 "몸은 비록 구치소에서 있었지만, 마음은 여러분 곁에 있었다"고 언급했다.

이어 "한 분, 한 분의 뜨거운 나라 사랑에 절로 눈물이 났다. 여러분의 지지와 성원에 깊이 감사드린다"며 "나라의 엄중한 위기 상황을 깨닫고, 자유와 주권 수호를 위해 싸운 여러분의 여정은 대한민국의 위대한 역사로 기록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윤 전 대통령 파면 당일 국가수반의 상징인 봉황기를 내린 대통령실은 이날도 침묵을 이어갔다. 정진석 비서실장과 신원식 국가안보실장, 성태윤 정책실장 등 3명의 실장과 수석비서관 이상 고위 참모진은 같은 날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에게 일괄 사의를 표명했지만, 한 대행은 이를 반려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