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민주당 소속 연방 상원의원이 최근 한·중·일 3국 장관이 만나 손을 맞잡은 장면을 “충격적”이라고 하며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의 관세 정책을 강하게 비판했다.
브라이언 샤츠 상원의원(하와이)은 지난 4일(현지시간) 상원 본회의장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이 미국 경제는 물론 국제 외교에도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그는 “트럼프 대통령은 전 세계가 단결해 미국에 맞서도록 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앞서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과 왕원타오 중국 상무부장, 무토 요지 일본 경제산업상은 지난달 30일 서울에서 약 5년 만에 한·중·일 경제통상장관회의에 참석했다. 회의 종료 후 세 장관은 나란히 서서 손을 맞잡으며 자유무역에 대한 지지를 재확인했다.
샤츠 의원은 이 장면을 직접 따라 하며 “앞서 이번 주 수년 만에 처음으로 중국, 일본 그리고 한국이 도널드 트럼프에 대한 대응으로 자유무역 협력 가능성에 대해 논의했다”며 "이는 가장 충격적인 장면"이라고 말했다.
그는 충격적 장면들 중에서도 가장 충격적이었던 것은 한국과 일본의 고위급 관리가 손을 맞잡은 것이라며 "그들은 지난 수십 년간, 수 세대간 외교적으로 갈등과 어려움이 많던 관계였음에도 이제는 상당히 양호한 관계에 있다”고 언급했다.
아울러 "그들(한국과 일본)이 악수한 것도 중요하지만, 그들은 우리에 맞선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 중국 고위 관리와 악수했다"며 "도널드 트럼프가 세계를 단결시키고 있다는 것은 사실이다. 문제는 그가 전 세계가 단결해 미국에 맞서도록 하고 있다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지난달 열린 회의에서 3국 장관은 “보호무역주의는 답이 아니다”라는 뜻을 모으고, 세계무역기구(WTO)와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 등을 재확인했다. 이번 회의는 지난해 5월 개최된 제9차 한·중·일 정상회의 후속조치를 논의하기 위해 마련된 것으로 알려졌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