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관세 충격에··· '바우처'로 수출기업 해법 모색

  • 산업부·코트라, 9일 '관세 대응 바우처 사업 온라인 설명회' 개최

  • 해외 현지 관세·법률 전문가 역량 결집, 기업 맞춤형 관세 대응 지원

사진아주경제DB
[사진=아주경제DB]
산업통상자원부와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코트라)는 9일 오전 10시 관세 대응 바우처 사업의 온라인 설명회를 개최한다고 8일 밝혔다. 미국 관세 정책으로 인한 우리나라 수출 중소·중견기업의 애로사항 대응을 지원하기 위해 '관세 대응 바우처 사업'을 개시하는 것이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최근 한국과의 교역에 상호관세 25%를 발표함에 따라 우리 기업들의 관세 우려가 현실이 됐다. 산업부와 코트라는 우리 기업의 불안 해소와 애로 지원을 위해 '관세 대응 119 종합지원센터' 체제를 지난 2일부터 확대 운영하고, 전용 콜센터 및 온라인 관세확인 시스템을 통해 우리 기업의 수출 현장 애로에 기민하게 대응 중이다. 지난 3월부터 지역별 '찾아가는 관세 대응 지방 설명회'를 미리 개최하는 등 수출기업의 현장 혼란을 최소화하기 위해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무엇보다 미국 신정부의 상호관세 발효로 인해 부정적 영향이 예상되는 수출 중소·중견기업을 대상으로 관세 대응 바우처 사업을 새롭게 개시해 1차적으로 4월 내에 200여개 기업의 관세 관련 영향 분석 및 대응, 대체시장 발굴을 위한 해외마케팅 지원에 나선다.

산업부 수출 바우처 사업은 2017년 정식 출범 이후 올해로 9년 차를 맞았다. 그간 산업별 중소·중견기업 일반 수출바우처사업, 수출물류비 지원 전용 수출바우처사업의 형태로 추진 됐다. 관세 대응 바우처 사업은 기존과 달리 코트라 해외 무역관이 발굴한 해외 현지의 관세·법률 전문가의 역량을 활용한 관세 영향 분석 및 대응 컨설팅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신청 가능한 내용은 바우처 포털 내 '관세 대응 패키지 서비스' 메뉴를 확인하면 된다. 피해분석, 피해대응, 생산거점 이전, 대체시장 발굴 등 카테고리별 지원 세부 내용 중 필요한 서비스를 선택하여 이용한 후 소요 비용을 정산하는 시스템이다.

강경성 코트라 사장은 "관세 대응 바우처 사업을 통해 우리 기업들이 현지 전문가 역량을 활용한 맞춤형 대응책을 발굴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