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수처 "비상계엄 수사 정리되면 채상병 사건 재개할 것"

  • "채상병 사건, 尹도 피의자로 입건...향후 소환 절차는 수사팀 판단할 것"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 사진연합뉴스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 [사진=연합뉴스]
지난해 12월 3일 윤석열 전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 직후 비상계엄 사건에 매달렸던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가 계엄 수사가 정리되는 대로 채수근 상병 순직 외압 사건을 재개할 것이라고 밝혔다.

8일 공수처 관계자는 과천정부청사에서 열린 정례 브리핑을 통해 "수사 상황을 구체적으로 말씀드리긴 어렵지만 작년 비상계엄 직전까지 군 관계자 조사가 이뤄졌었고 그 이후에 어떤 수사가 진행 될 지에 대해서도 수사 테이블을 짜놓은 게 있었다"면서 "그대로 진행되다가 비상계엄 이후에 멈춘 상태"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일단 당장은 비상계엄 사건 수사를 정리하는 게 필요하고 그리고 잠시 멈췄던 해병대(채상병)사건 관련해서 진행할 예정"이라며 "기본적으로는 현재 비상계엄 사건에 검사들이 전원 다 투입됐기에 정리가 필요하고 이후 재개하는데 (비상계엄)수사가 완결되고 바로 재개한다고 생각하진 않았으면 한다. 다만 시점이나 방식은 말씀드리기 어렵다"고 부였했다.

다만 관계자는 향후 수사 진행계획, 임성근 전 해병대 1사단장 핸드폰 포렌식 등과 관련한 질문엔 구체적인 답을 피했다. 

이와 관련해 관계자는 윤 전 대통령 소환 여부에 대해서는 "기본적으로 사건과 관련해서는 윤 전 대통령도 피의자로 입건 된 상태"라며 "나머지 소환이나 절차에 관련된 건 수사팀이 판단할 문제라 지금 여기서 말씀드리기는 어렵다"고 설명했다.

또 관계자는 최근 공수처가 수사에 돌입한 심우정 검찰총장에 대해서도 "수사 상황이라 말씀드리긴 어렵다"고 말했다.

그는 최재해 감사원장 조사에 관해서도 "아시겠지만 헌법재판소의 판단과 수사 기관의 판단은 다를 수 있을 수 있다"며 "다만 그게 일반적인 것이지 이 사건 관련해서 말씀드리는 건 아니다"라고 부연했다.

또 관계자는 이날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가 차기 헌법재판소 재판관으로 임명한 이완규 법제처장의 수사와 관련한 질문엔 "확인해 봐야 할 문제"라고 답했다.

공수처는 최근 비상계엄과 관련해 삼청동 대통령 안가에 방문한 사람들을 수사하고 있는데 이 처장은 윤 전 대통령의 40년 지기로 비상계엄 이튿날인 지난해 12월4일 밤 삼청동 대통령 안가에서 박성재 법무부 장관, 이상민 전 행정안전부 장관, 김주현 대통령실 민정수석 등을 만난 것으로 알려졌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