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8일 공수처 관계자는 과천정부청사에서 열린 정례 브리핑을 통해 "수사 상황을 구체적으로 말씀드리긴 어렵지만 작년 비상계엄 직전까지 군 관계자 조사가 이뤄졌었고 그 이후에 어떤 수사가 진행 될 지에 대해서도 수사 테이블을 짜놓은 게 있었다"면서 "그대로 진행되다가 비상계엄 이후에 멈춘 상태"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일단 당장은 비상계엄 사건 수사를 정리하는 게 필요하고 그리고 잠시 멈췄던 해병대(채상병)사건 관련해서 진행할 예정"이라며 "기본적으로는 현재 비상계엄 사건에 검사들이 전원 다 투입됐기에 정리가 필요하고 이후 재개하는데 (비상계엄)수사가 완결되고 바로 재개한다고 생각하진 않았으면 한다. 다만 시점이나 방식은 말씀드리기 어렵다"고 부였했다.
다만 관계자는 향후 수사 진행계획, 임성근 전 해병대 1사단장 핸드폰 포렌식 등과 관련한 질문엔 구체적인 답을 피했다.
이와 관련해 관계자는 윤 전 대통령 소환 여부에 대해서는 "기본적으로 사건과 관련해서는 윤 전 대통령도 피의자로 입건 된 상태"라며 "나머지 소환이나 절차에 관련된 건 수사팀이 판단할 문제라 지금 여기서 말씀드리기는 어렵다"고 설명했다.
또 관계자는 최근 공수처가 수사에 돌입한 심우정 검찰총장에 대해서도 "수사 상황이라 말씀드리긴 어렵다"고 말했다.
그는 최재해 감사원장 조사에 관해서도 "아시겠지만 헌법재판소의 판단과 수사 기관의 판단은 다를 수 있을 수 있다"며 "다만 그게 일반적인 것이지 이 사건 관련해서 말씀드리는 건 아니다"라고 부연했다.
또 관계자는 이날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가 차기 헌법재판소 재판관으로 임명한 이완규 법제처장의 수사와 관련한 질문엔 "확인해 봐야 할 문제"라고 답했다.
공수처는 최근 비상계엄과 관련해 삼청동 대통령 안가에 방문한 사람들을 수사하고 있는데 이 처장은 윤 전 대통령의 40년 지기로 비상계엄 이튿날인 지난해 12월4일 밤 삼청동 대통령 안가에서 박성재 법무부 장관, 이상민 전 행정안전부 장관, 김주현 대통령실 민정수석 등을 만난 것으로 알려졌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