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사진=AP·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상호관세 맞불 대응에 나선 중국에 50% 추가 관세 카드를 꺼냈다. 이에 총 104%에 달하는 관세폭탄을 눈앞에 둔 중국은 “끝까지 맞설 것”이라며 항전 의지를 내비쳤다. 미·중 무역 갈등이 극에 달한 가운데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 이외 나라들과는 협상의 여지를 두면서 ‘분리 대응’ 기조를 분명히 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7일(현지시간) 자신의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에 “8일까지 중국이 34% 관세를 철회하지 않으면 미국은 중국에 50% 추가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며 “9일 발효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미 펜타닐 유입 명목으로 중국에 기존 관세 20%에 더해 상호관세 34%를 부과하기로 했다. 여기에 50% 추가 관세까지 부과되면 미국의 대(對)중국 관세는 총 104%가 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이 자신의 요구를 수용하지 않을 경우 중국이 요청한 미국과의 모든 대화는 취소될 것이라면서 “미국과의 회담을 요구한 다른 나라들과의 협상은 즉시 시작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중국 정부는 절대 수용 불가 입장을 내놨다. 중국 상무부 대변인은 8일 홈페이지에 게재한 담화문에서 “중국은 미국이 대(對)중국 50% 관세 추가 인상을 위협한 것에 주목하고 이에 단호히 반대한다”며 “미국이 고집대로 한다면 중국은 반드시 끝까지 맞서겠다”고 밝혔다. 또한 중국 관영 신화통신은 소셜미디어 계정 ‘뉴탄친’을 통해 미국산 대두(콩)·수수 등 농산물 관세 대폭 인상과 가금육 수입 금지, 중국 내 독점적 지위를 가진 미국 기업을 겨냥한 지식재산권 조사, 미국 영화 수입 축소·금지 등 6대 대응 조치 리스트를 공개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과 다른 국가에 대해 분리 대응 입장을 내놓으면서 각국은 협상에 적극 나설 전망이다. 스콧 베센트 미 재무장관은 이날 폭스뉴스 인터뷰에서 미국의 관세 발표 이후 거의 70개국이 협상을 희망해 왔다며 “매우 빨리 협상에 나선 일본이 우선순위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와 회담한 후 취재진에게 상호관세 부과의 일시 유예 가능성에 대해 “검토하고 있지 않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일 모든 나라를 대상으로 상호관세 조치를 발표했다. 이에 따라 기본관세 10%는 지난 5일 발효됐고, 한국(25%)을 비롯해 미국이 이른바 ‘최악 침해국’으로 분류한 약 60개국에 대한 국가별 상호관세 조치는 9일(한국시간 9일 오후 1시 1분)부터 시행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