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석열 대통령 파면 결정으로 조기 대선이 현실화하면서 국민의힘 내에서도 분위기가 고조되고 있다. 차기 대권 주자들의 출마 러시가 이어지고 당내 경선 채비도 속도를 내는 양상이다. 국민의힘은 이번 주 선거관리위원회 첫 회의를 열고 후보 난립 속 경선 흥행 방안을 꾀한다.
8일 국민의힘에 따르면 보수 잠룡들이 잇따라 출사표를 던진다.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은 9일 국회에서 출마 선언을 한다. 한동훈 전 대표는 10일 국회에서 대선 출마를 공식화한다. 홍준표 대구시장은 11일 시장직을 내려놓고 14일 서울 여의도에서 정식으로 출마 의사를 밝힌다.
국민의힘 잠룡들이 속속 대권 주자로 나서며 당 안팎에서는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이 경선에 나서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경제부총리를 거쳐 국무총리, 주미국 대사를 역임한 만큼 글로벌 통상 전쟁과 민생 경제 위기 관련 대응을 갖춘 적임자라는 판단이다. 다만 권성동 원내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지도부 입장에서는 그에 대해 언급하는 것 자체가 적절치 않다"며 선을 그었다.
이 가운데 황우여 전 비상대책위원장을 수장으로 하는 국민의힘 선관위는 9일 닻을 올리고 대선 경선 일정, 룰 등을 논의한다. 특히 예비경선(컷오프) 횟수와 단계별로 몇 명의 후보를 추릴지가 관건이 될 것으로 보인다. 현재 보수 진영 주요 주자들은 15명에 달하지만 대부분 지지율이 한 자릿수에 머물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컷오프 과정에 따라 후보 구성이 달라지고 경쟁 구도가 재편될 가능성이 크다.
선관위가 예비경선 단계에서 당심(당원 투표)을 얼마나 반영할지도 관심사다. 예비경선 룰의 경우 당 선관위 재량으로 정할 수 있어서다. 민심(일반 여론조사) 비율이 높아질수록 중도층이 미치는 영향이 커진다는 점에서 각 후보자에 따라 이해관계가 첨예하게 대립하는 문제기도 하다.
다만 경선 룰 변화는 그리 크지 않을 전망이다. 현재 당헌·당규상 본 경선 민심·당심 비율은 각각 50%로 정해져 있다. 경선까지 물리적 시간이 촉박하기에 안정된 운영을 기대한다면 큰 변화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