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정통부·산업부, 데이터·AI 기반 소재 연구개발 혁신 위해 맞손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사진=게티이미지뱅크]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와 산업통상자원부(산업부)가 데이터·인공지능(AI) 기반 소재 연구개발 혁신을 위해 손을 잡았다. 

8일 양부처는 산업부가 구축한 약 300만건의 소재 분야 공공데이터를 과기정통부의 데이터안심구역을 통해 개방하기로 업무협약(MOU)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소재개발은 평균 10년 이상 연구 기간과 대규모 투자가 필요한 고난도 산업 분야다. 특히 한 번 채택된 소재는 쉽게 대체되지 않아 '선도자 이익'이 큰 고부가가치 산업이다. 이에 소재 데이터만 확보할 수 있으면 고비용 투자가 어려운 중소기업도 도전적인 소재 개발에 참여할 수 있다.

산업부는 지난 2020년부터 국내 소재 산업 경쟁력 강화와 전략 소재 선점을 지원하기 위해 화학, 금속, 세라믹, 섬유 등 4개 소재 분야 공공 데이터를 축적해왔다. 이번 협약을 통해 약 300만 건의 소재 데이터를 국민 누구나 접근하도록 개방했다. 

개방한 데이터는 과기정통부가 운영하는 '데이터안심구역'으로 제공된다. 현재 전국에 8개 기관(10개소)이 지정돼 있으며 교통, 고용, 보건 등 다양한 분야 미개방 데이터를 제공하고 있다. 

양 부처는 MOU 체결 직후 소재 분야 기업과 연구기관이 함께하는 '데이터·AI 기반 소재 연구개발(R&D) 간담회'를 개최했다. 이 자리에서 △AI 기반 소재 연구 최신 트렌드 △데이터 표준화·공유 방안 △데이터 표준화·공유 방안 △소재 데이터의 산업적 활용 사례 △제조 분야 AI 서비스 확산 등을 논의했다. 

이승렬 산업부 산업정책실장은 "약 5년간 축적한 소재 데이터를 개방해 기업의 기술 개발에 큰 힘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송상훈 과기정통부 정보통신정책실장은 "이번 협력을 시작으로 데이터 기반 산업 혁신이 더욱 가속화할 수 있도록 과기정통부의 여러 사업과 함께 지속적으로 지원하겠다"고 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