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스크, 트럼프에 직접 관세전쟁 만류…'관세 책사'와도 갈등"

  • WP "머스크의 시도는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왼쪽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사진로이터연합뉴스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왼쪽)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사진=로이터·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상호관세가 전 세계 경제에 충격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트럼프 대통령에게 직접 관세 정책을 만류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일간 워싱턴포스트(WP)는 7일(현지시간) 익명을 요구한 2명의 소식통을 인용해 머스크가 트럼프 대통령에게 직접 호소했으나, 트럼프 대통령은 상호관세를 강행했다고 보도했다.
 
머스크는 앞서 5일 자신의 소셜미디어 X(옛 트위터)에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책사’ 피터 나바로 백악관 무역·제조업 담당 고문을 비판하는 글을 올렸다. 이에 나바로 고문은 CNBC 인터뷰에서 “머스크는 해외 부품에 의존하는 자동차 조립자일 뿐”이라며 “그는 값싼 외국 부품을 원한다”고 반박했다.
 
WP는 이날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산 수입품에 대해 34% 관세에 더해 50% 추가 부과를 위협했다”며 “(머스크의) 개입 시도는 현재까지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고 평가했다.
 
또 머스크는 자신의 소셜미디어 X에 자유무역을 옹호한 보수 경제학자 밀턴 프리드먼의 동영상을 올려 관세전쟁에 대한 반대 입장을 간접적으로 드러냈다.
 
그러나 머스크는 미국 수출업체에 영향을 미치는 외국의 불공정 무역 관행을 지적한 미 무역대표부(USTR) 엑스 게시물에 ‘좋은 지적’이라는 댓글을 남기며, 신중한 태도를 보이기도 했다.
 
머스크의 동생이자 테슬라 임원인 킴벌 머스크도 이날 자신의 소셜미디어 X에 “트럼프가 수 대에 걸쳐 사실상 가장 높은 세금을 매긴 대통령이 될 것이라고 누가 생각했겠느냐”면서 “관세 전략을 통해 트럼프는 미국 소비자에게 구조적이고 영구적인 세금을 도입했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WP는 미국 재계 지도자 다수가 트럼프 행정부의 상호 관세 조처에 충격과 실망을 표했다고 전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고율관세를 공약하긴 했지만, 스콧 베센트 재무장관이나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 등을 통해 보다 온건한 접근이 이뤄질 것으로 기대했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일부 재계 인사들은 최근 비공식 단체를 결성하고, 향후 로비 활동에 나설 계획인 것으로 전해졌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