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계 첫 우주인' 조니 김…ISS서 본격 업무 돌입

한국계 우주비행사 조니 김 사진연합뉴스
한국계 우주비행사 조니 김. [사진=연합뉴스]
미국 항공우주국(NASA) 소속 한국계 우주비행사 조니 김(41)이 러시아 우주선을 타고 국제우주정거장(ISS)에 도착했다. 한국계 우주비행사가 ISS에서 공식 승무원으로 임무를 수행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AP통신 등에 따르면 러시아 연방우주공사(로스코스모스)는 조니 김을 태운 러시아의 소유즈 MS-27 우주선이 8일 오후 6시쯤(한국시간) ISS에 도킹했다고 밝혔다. 이 우주선에는 조니 김을 비롯해 러시아 우주비행사 세르게이 리지코프, 알렉세이 주브리츠키 등 3명이 탑승했다.

이들은 같은 날 오후 2시 47분, 카자흐스탄 바이코누르 우주기지에서 발사됐다. 이번 비행은 조니 김이 2017년 NASA 우주비행사로 선발된 이후 처음 맡은 실제 우주 임무다. 그는 약 8개월 동안 ISS에 머물며 과학 연구와 기술 실험을 수행한 뒤 지구로 귀환할 예정이다.

ISS는 미국과 러시아 주도로 1998년부터 지구 상공 400㎞ 궤도에 건설된 다국적 우주 실험 기지로, 현재 미국·러시아 외에도 유럽 11개국, 일본·캐나다 등 총 13개국이 참여하고 있다. NASA와 로스코스모스는 2022년, 비상 상황에 대비한 상호 우주선 좌석 교환 협정을 체결해 서로의 우주선에 상대국 우주비행사를 탑승시키고 있다. 이는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양국 관계가 악화된 상황에서도 유일하게 유지되고 있는 협력 분야로 꼽힌다.

조니 김은 해군 특수부대 네이비실 출신으로, 군 경력과 의사 면허를 함께 보유한 독특한 이력을 지녔다. 1984년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에서 한국계 이민자 가정에서 태어난 그는 고등학교 졸업 후 해군에 입대해 100회 이상의 전투 작전에 참여했으며, 전투기 조종사 훈련도 받았다. 이후 군의 지원으로 대학에 진학해 하버드대학교 의과대학에서 의학박사(MD) 학위를 취득했다.

그는 의사로서 매사추세츠 종합병원과 브리검 여성병원 응급실에서 근무했으며, 인터뷰에서 “16살 때 네이비실을 처음 알게 됐고, 군 생활을 지속하기 위해 의사의 길을 택했다”고 밝혔다.

우주에 대한 관심은 2015년, NASA가 시험 비행한 오리온 우주선을 보고 나서 시작됐다. 의사이자 우주비행사인 스콧 파라진스키의 권유로 2017년 NASA 우주비행사 모집에 지원했고, 1만8000여명 중 11명만 뽑힌 최종 후보에 선정됐다. 2년간의 혹독한 훈련을 거쳐 정식 우주비행사로 임명됐다.

조니 김은 현재 아내와 세 자녀를 두고 있으며, 여가 시간에는 가족과 시간을 보내거나 야외 활동, 근력 운동, 비디오 게임 등을 즐긴다고 NASA는 전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