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동생인 김여정 노동당 부부장은 최근 한·미·일 외교장관의 북한 비핵화 의지 재확인에 대해 "가장 적대적인 행위"라고 반발했다.
김 부부장은 9일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에 발표한 담화를 통해 "미·일·한의 시대착오적인 비핵화 집념은 우리 국가의 지위에 그 어떤 영향도 미칠 수 없다"며 이같이 주장했다.
김 부부장은 최근 북대서양조약기구(나토) 외교장관회의에서 한·미·일이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를 재확인'한 것을 두고 "아직까지도 실패한 과거의 꿈속에서 헤매며 '완전한 비핵화'를 입에 달고 다니는 것은 자기들의 정치적 판별 수준이 어느 정도로 구시대적이고 몰상식한가를 스스로 세상에 드러내 보이는 것"이라고 비난했다.
이어 "실제적이고 매우 강한 핵억제력의 존재와 더불어 성립되고 조선인민의 총의에 따라 국가의 최고법, 기본법에 고착된 북한의 핵보유국 지위는 외부로부터 적대적 위협과 현재와 미래의 세계안보역학구도의 변천을 정확히 반영한 필연적 선택의 결과"라며 "그 누가 부정한다고 달라지는 것이 아니다"라고 강변했다.
김 부부장은 또 "이것은 그 어떤 물리적 힘과 교묘한 잔꾀로도 되돌려 세울 수 없는 우리의 확고부동한 선택"이라며 "그 누구의 부정도 인정도 우리는 개의치 않으며 우리는 우리의 선택을 절대로 바꾸지 않는다"고 핵무력 노선을 포기할 생각이 없음을 거듭 재확인했다.
아울러 김 부부장은 '비핵화' 개념 부활 시도는 "곧 공화국의 주권을 부정하고 헌법포기, 제도포기를 강요하는 가장 적대적인 행위"라며 "만일 미국과 그 추종세력들이 그 누구의 '위협'을 떠들어대며 시대착오적인 '비핵화'에 계속 집념한다면 최강의 자위적 핵력량 구축을 지향하는 우리의 전진도상에 무제한의 당위성과 명분만 깔아주게 될 뿐"이라며 자신들의 핵 정책을 정당화하기도 했다.
그러면서 "공화국은 미국의 핵위협 도수가 극대화되고 핵동맹 대결 책동이 날로 적극화되고 있는 현실에 입각하여 국가의 최고이익을 철저히 수호하고 지역의 평화와 안정을 담보하기 위한 책임적인 노력을 계속 기울여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임을출 경남대 교수는 김 부부장의 담화에 대해 "단순히 비핵화에 대한 북한의 기존 입장을 전달하는 차원을 넘어 대미 관계, 나아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에서 중요한 정치적 신호를 보낸 것"으로 해석했다.
이어 "'비핵화'를 사문화된 개념으로 주장하고, 이 개념 부활 시도 자체를 '곧 공화국의 주권을 부정하고 헌법포기, 제도포기를 강요하는 가장 적대적인 행위'로 규정한 점이 주목된다"며 "이는 트럼프 행정부의 대북정책 기조가 이전 정부와 전혀 다르지 않다는 평가와 이에 따른 대미 불신 수준이 한층 더 상승하고 있음을 시사했다"고 평가했다.
임 교수는 또 "사실상 대미 협상의 재개 조건, 즉 협상 재개의 문턱이 더 높아졌음을 의미한다"며 "북한을 사실상의 핵보유국으로 인정하지 않은 한 협상재개가 쉽지 않을 것"이라고 언급했다. 그러면서 "북·미 관계의 불확실성이 갈수록 증대되고 있는 현실에서 북한의 자위적 핵역량 강화가 가속도를 낼 것으로 전망한다"고 분석했다.
한편, 김 부부장의 담화는 미 항공모함 칼빈슨함의 부산 입항 때 "전략적 수준의 위혁적 행동을 증대시키는 선택안"을 검토할 것이라고 밝힌 지난달 3일 이후 한 달여 만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