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감세 및 해외 원조 프로그램 폐기 등 그간 추진해 온 정책 중 일부를 수정할 조짐을 보이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의 정책에 대한 반감이 높아짐에 따라 그에 대한 대책 마련에 나선 모습이다.
8일(현지시간) 미국 온라인 매체 세마포가 3명의 소식통을 인용해 보도한 바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주 공화당 상원의원들과의 비공개 모임에서 자신은 일부 최고 소득자들에 대한 증세안에 열려 있다고 언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줄곧 감세안을 주장해 온 트럼프 대통령의 자세가 다소 바뀐 것으로, 트럼프 1기 당시인 2017년에 도입한 감세안이 올해 말 만료되는 가운데 일부 공화당 의원들의 우려를 반영한 모습이다. 감세안을 연장하기 위해서는 저소득층에 대한 의료 보조 제도인 메디케이드 재원을 삭감해야 할 수 있는데, 이 경우 내년 11월 중간선거에서 민주당 측에 공격의 빌미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다.
아울러 이날 로이터통신이 6명의 소식통을 인용해 보도한 바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최근 폐기한 미국 해외 원조 프로그램 중 최소한 6개를 복원할 움직임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 예산 감축을 추진하는 정부효율부(DOGE) 소속이기도 한 제레미 르윈 미국 국제개발처(USAID) 처장 대행 역시 USAID 직원들에게 일부 프로그램을 복원하는 내용의 이메일을 보낸 것으로 알려졌다. 소식통에 따르면 USAID가 복원하기로 한 프로그램은 레바논, 시리아, 소말리아 등지에서 진행되는 유엔 세계식량계획(WFP)의 구호 활동 지원 프로그램인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전날 WFP는 소셜미디어 엑스(X·옛 트위터) 공식 계정에 "구호 활동 중단은 기아 상황에 처한 수백만 명에게 사형선고와 같은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면서 미국 측에 지속적인 지원을 촉구했다. 또한 미 의회 및 정부 내부에서의 압박도 일부 지원 프로그램 복원에 영향을 미쳤다고 로이터는 전했다.
따라서 지난 주말 미국 전역에서 60만명이 '반 트럼프' 시위를 벌이는 등 트럼프 대통령의 정책에 대한 불만이 높아지는 가운데 일부 정책이 수정될 가능성이 나타나고 있다. 워싱턴DC 소재 싱크탱크인 퓨리서치센터가 8일 발표한 설문조사(3월 24~30일 미국 성인 3605명 대상 실시) 결과에 따르면 트럼프 행정부의 외교 정책 지지율이 대부분 낮게 나온 가운데 USAID 해체에 대한 의견은 부정 응답 비율이 52%로 긍정 응답 비율(32%)을 크게 앞섰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