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무역협회(KITA)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이 9일 발표한 '2024년 수출의 국민경제 기여 효과 분석'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 경제성장률 2.04% 중 수출 기여도는 1.93%포인트(p)로 분석됐다.
이는 최근 5년 내 가장 높은 수준이다. 실질 국내총생산(GDP)에서 수출이 차지하는 비중도 36.3%로 2020년대 들어 가장 높았다.
지난해 우리나라 수출의 생산유발액은 전년 대비 6.9% 증가한 1조3012억 달러로 추정되며, 이는 2020년대 들어 최고치다. 특히 자동차와 반도체의 수출 회복이 생산유발액 증가에 크게 기여한 것으로 분석됐다. 생산유발액을 바탕으로 산출한 수출의 생산유발도는 전년(1.93)보다 소폭 하락한 1.90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수출로 인해 유발된 취업자 수는 총 416만명으로 집계됐다. 전체 취업자 2858만명의 14.6%에 해당하는 규모다. 수출 100만 달러당 6.1명의 일자리가 창출된 셈이다.
품목별로는 전‧후방 연쇄효과가 큰 자동차 산업의 취업유발인원이 69만5000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반도체(34만6000명), 일반목적용 기계(29만2000명), 선박(22만9000명) 순으로 나타났다.
유서경 한국무역협회 수석연구원은 "수출의 높은 경제성장 기여도는 우리 경제가 수출 주도 성장 전략을 지속적으로 추진해야 함을 시사한다"면서 "수출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확대하기 위해서는 수출 품목 다변화를 통한 장기적인 경쟁력 확보, 고부가가치 제품 개발, 중소기업의 글로벌 가치사슬 참여 확대 및 산업 생태계 강화 등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