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은행장 "美 대응" 입 모아...BIS·정책자금 개선 요구도

  • 국민의힘, 5대 은행장과 간담회

  • 은행권 "경제 방파제 역할 위한 토양 마련돼야"

뒷줄 왼쪽부터 정진완 우리은행장 이호성 하나은행장 이환주 국민은행장 백종일 전북은행장 정상혁 신한은행장 강태영 농협은행장을 비롯한 국민의힘 의원들이 9일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정진완 우리은행장(뒷줄 왼쪽부터), 이호성 하나은행장, 이환주 국민은행장, 백종일 전북은행장, 정상혁 신한은행장, 강태영 농협은행장과 국민의힘 의원들이 9일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간담회를 한 뒤 기념촬영하고 있다.
국민의힘 의원들이 주요 시중은행장을 한자리에 불러 모아 "미국과의 금융 협상, 관세 폭탄에 대응하기 위해 함께 고민할 부분을 찾아보자"고 강조했다. 은행권은 국제결제은행(BIS) 자본 규제 완화와 소상공인 정책자금 확대 등을 통해 경제 방파제 역할을 하기 위한 기반을 마련해줄 것을 요구했다. 

국내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 은행장과 전북은행장, 토스뱅크 대표이사는 9일 서울 중구 은행연합회에서 국민의힘 의원들과 간담회를 개최했다. 

윤한홍 국회 정무위원회 위원장은 "금융권에서 미국과의 금융 협상과 관세 폭탄에 어떻게 대처해야 할지 함께 고민해야 할 부분이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미국의 관세 폭탄은 각 기업뿐 아니라 중소기업, 소상공인, 자영업자, 국민에게까지 피해를 미칠 것"이라며 "민간 은행에 요구안을 쏟아내기보다 허심탄회한 현장 이야기를 듣고 국회 정책에 반영할 것"이라고 말했다.

강민국 국민의힘 의원은 "한국 제조산업 강국에 임계점이 왔고 이제는 미국처럼 금융 강국으로 가야 한다"며 "은행권에 규제가 있다면 완화 정도가 아니라 규제 파괴를 해야 할 것"이라고 했다. 
ㅇ
(왼쪽부터) 강태영 농협은행장, 이환주 국민은행장, 조용병 은행연합회장 [사진=권가림 기자]
ㅇ
(왼쪽부터) 정상혁 신한은행장, 이호성 하나은행장, 백종일 전북은행장 [사진=권가림 기자]
은행권은 글로벌 위기 속에 경제 방파제 역할을 자처하겠다면서도 이를 위한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조 회장은 "수출 중심으로 기업, 경제가 어려움을 겪고 있고 대규모 산불 피해로 경제성장률이 크게 둔화될 것으로 예상되는 등 큰 도전에 직면했다"며 "은행권 경쟁력 강화와 혁신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힘써 달라"고 말했다. 

이 자리에서 은행별 요구사항도 공유됐다. 신한은행은 산업생산과 관련한 대출에 대해서는 BIS 자본 규제를 완화해 달라고 요구했다. 하나은행은 소상공인 정책자금 중 청년고용 연계 자금을 확대해줄 것을 제시했다. 배정된 자금 1500억원이 3일 만에 소진된다는 이유에서다. 우리은행은 가상자산 운영 방식을 1거래소 1은행 체제에서 1거래소 다자 은행체제로 변화가 필요하다는 목소리를 내놨다. 은행들은 환율 급등에 대해 공동으로 대처하자는 데도 입을 모았다. 

이민환 인하대 교수는 "은행이 저소득·저신용자에 대한 신용 공급 확대를 통한 사회적 책임에 동참하는 것은 바람직하다"며 "정치권은 보여주기식 일회성 정책이 아니라 장기적 관점에서 서민을 도울 수 있는 큰 목적의 제도를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