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 은행장과 전북은행장, 토스뱅크 대표이사는 9일 서울 중구 은행연합회에서 국민의힘 의원들과 간담회를 개최했다.
윤한홍 국회 정무위원회 위원장은 "금융권에서 미국과의 금융 협상과 관세 폭탄에 어떻게 대처해야 할지 함께 고민해야 할 부분이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미국의 관세 폭탄은 각 기업뿐 아니라 중소기업, 소상공인, 자영업자, 국민에게까지 피해를 미칠 것"이라며 "민간 은행에 요구안을 쏟아내기보다 허심탄회한 현장 이야기를 듣고 국회 정책에 반영할 것"이라고 말했다.
강민국 국민의힘 의원은 "한국 제조산업 강국에 임계점이 왔고 이제는 미국처럼 금융 강국으로 가야 한다"며 "은행권에 규제가 있다면 완화 정도가 아니라 규제 파괴를 해야 할 것"이라고 했다.


이 자리에서 은행별 요구사항도 공유됐다. 신한은행은 산업생산과 관련한 대출에 대해서는 BIS 자본 규제를 완화해 달라고 요구했다. 하나은행은 소상공인 정책자금 중 청년고용 연계 자금을 확대해줄 것을 제시했다. 배정된 자금 1500억원이 3일 만에 소진된다는 이유에서다. 우리은행은 가상자산 운영 방식을 1거래소 1은행 체제에서 1거래소 다자 은행체제로 변화가 필요하다는 목소리를 내놨다. 은행들은 환율 급등에 대해 공동으로 대처하자는 데도 입을 모았다.
이민환 인하대 교수는 "은행이 저소득·저신용자에 대한 신용 공급 확대를 통한 사회적 책임에 동참하는 것은 바람직하다"며 "정치권은 보여주기식 일회성 정책이 아니라 장기적 관점에서 서민을 도울 수 있는 큰 목적의 제도를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