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상진 경기 성남시장이 9일 "정확한 주소는 시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는 첫걸음"이라고 속마음을 털어놨다.
이날 신 시장은 "오는 9월까지 동·층·호가 표기되지 않은 단독·다가구주택 1423개소에 상세주소를 부여할 계획"이라면서 이 같은 입장을 밝혔다.
신 시장에 따르면, 현재 단독·다가구주택의 경우, 건물 전체에 하나의 주소만 부여돼 있어 개별 세대를 특정하기 어려웠다는 지적이다.
이는 건축물대장에 ‘층별·호별 구분등록’이 이뤄지지 않아 주민등록 전입신고 시 개별 가구를 명확하게 등록할 방법이 없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응급상황 발생 시 정확한 위치 파악이 어려워 구조가 지연되는 사례가 발생하고 있고, 우편·택배 등 물류 서비스 이용에도 불편이 크다는 게 신 시장의 설명이다.
특히, 다가구주택이 밀집된 지역은 고령층 거주 비율이 높아 위기 상황에 더욱 취약해 복지 사각지대가 발생할 우려도 있다고 귀띔한다.
이에, 신 시장은 거주자의 생활 편의를 높이고, 소방·구급·경찰 등 긴급 출동 서비스의 접근성을 개선하고자 상세주소 부여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현재까지 전체 미부여 건수 2만6988건 중 77.8%인 2만995건에 상세주소를 부여했는데 오는 2027년까지 100% 부여 완료를 목표로 하고 있다.
한편 신상진 시장은 "이번 사업을 통해 위기 대응 체계를 강화하고, 시민들의 주소 이용 편의성을 높여 보다 안전하고 체계적인 생활 환경을 만들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