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공언한 상호관세 조치가 9일(한국시간) 전 세계에 발효됐다. 이에 대응해 중국, EU, 캐나다 등은 보복관세를 예고한 가운데 우리 정부는 미국의 관세율 인하를 목표로 협상에 돌입했다.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은 트럼프 대통령과 통화해 관세, 한미동맹, 북핵 문제 등을 논의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 협상에 조선, 미국산 LNG 구매, 알래스카 가스관 사업, 방위비 분담금 등 다양한 이슈를 포함시키겠다고 밝혀, 이른바 '패키지 딜' 방식의 협상을 예고했다. 이에 정부는 정인교 통상교섭본부장을 미국에 파견하고 자동차·철강 업종 등을 위한 지원책도 마련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미국의 강경한 무역 기조와 협상의 불확실성에 우려를 표하며 성급한 합의보다는 장기적인 대응 전략과 자구책이 필요하다고 조언한다. 이 조치로 환율과 증시도 불안정해지는 등 국내 경제 전반에 영향이 확산되고 있다. 이번 사태는 트럼프 행정부의 보호무역주의가 본격적으로 현실화된 대표 사례다. 미국은 자국 이익을 최우선으로 내세우며, 단순한 관세 문제가 아니라 정치·에너지·군사까지 아우르는 '올인원 협상'을 강하게 요구하고 있다. 한국 입장에서는 단기적으로 관세로 인한 수출 피해를 줄이는 것이 급선무이지만 장기적으로는 특정 국가에 대한 경제 의존도를 줄이고 외교·무역 다변화 전략을 세워야 할 시점이다. 미국의 압박에 끌려가기보다는 전략적으로 협상 테이블을 설계할 수 있는 내공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