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날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의 트루스소셜 계정에 “90일간의 관세 유예(Pause) 조치와 함께 그 기간 동안 상당히 낮아진 상호관세 10% 부과를 즉시 시행하도록 승인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하지만 "중국에 대한 미국의 관세를 즉시 125%로 인상한다"면서 "(이는) 세계 시장에 중국이 보인 존경심의 부족에 근거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미국의 한국에 대한 상호관세도 90일간은 기존 25%에서 10%로 낮아진다. 다만, 자동차 등에 대한 25% 품목별 관세는 그대로 적용된다.
트럼프 대통령의 발표 이후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백악관에서 "중국에 대한 관세는 125%로 인상될 것이며, 이는 중국이 경솔하게(imprudently) 보복하기로 결정했기 때문"이라면서 "누구든 미국을 때릴 경우 트럼프 대통령은 더 세게 맞받아칠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뉴욕증시의 3대 주가지수는 '폭등'했다.
이날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장 마감 후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2962.86포인트(7.87%) 상승한 40608.45에 거래를 마감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474.13포인트(9.52%) 오른 5456.90, 나스닥종합지수는 무려 1857.06포인트(12.16%) 폭등한 17124.97에 장을 마감했다.
스콧 베센트 재무장관은 백악관에서 기자들과 만나 주식시장 급락 때문에 상호관세를 유예했느냐는 질문에 대해 "아니다"라고 선을 그었다. 그는 "많은 요청이 있었고, 75개국 이상이 우리를 접촉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