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9일(현지시각) 도놀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국가별 상호관세를 10%의 기본 관세만 부과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정 본부장은 이날 워싱턴D.C. 주미한국대사관에서 특파원 간담회를 열고 "이번 유예 조치는 미국 측과의 관세 협상을 지속해 우리 업계에 미칠 영향을 최대한 줄일 수 있는 여지가 확보됐다는 점에서 긍정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다만 미국이 중국에 125% 관세를 부과한 것을 두고 간접적인 영향이 발생할 수 있는 만큼 우리기업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협의는 지속돼야 한다고 밝혔다. 미국의 관세 장벽으로 대미 수출이 불가능해진 중국산 제품이 한국 등 주변국으로 덤핑되는 풍선효과가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이다.
정 본부장은 한덕수 권한대행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간 통화를 통해 우호적인 모멘텀이 형성됐다고 봤다. 그는 "이번 논의된 내용을 바탕으로 미국 관세조치를 포함한 주요 통상현안에 대해 미국과의 협의를 지속해 우리 업계에 미치는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총력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정 본부장은 8~9일 미국에서 제이미슨 그리어 무역대표부(UTSR) 대표, 윌리엄 키밋 상무부 선임고문(국제무역 차관 내정자), 제프리 케슬러 상무부 산업안보국(BIS) 차관 등과 면담을 가졌다.
정 본부장은 지난달 제이미슨 그리어 USTR 대표와 첫 회담을 가진 이후 이번 방미에서 재회동 하며 지난 2일 발표된 미국의 관세조치에 대한 우리 측의 우려를 전달했다. 또 한국에 대한 관세율을 낮추기 위해 우리 입장을 중심으로 미국 측과 협의했다.
미국 상무부 주요인사와의 면담도 이뤄졌다. 윌리엄 키밋 국제무역 차관 내정자와는 미국 관세조치를 포함한 무역정책 전반에 대해 논의했다. 제프리 케슬러 BIS 차관과는 안정적인 글로벌 공급망 구축을 위한 협력 방안에 대해 상의했다.
정 본부장은 "미국과의 협상은 단판승부로 끝나지는 않을 것"이라며 "지속적인 대화와 끈질긴 설득, 민관의 노력 등이 어우러져야 좋은 열매를 맺을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다만 정부 고위관계자는 무역수지 문제, 조선 협력, 알래스카 액화천연가스(LNG) 개발사업 등 에너지 협력을 논의했으나 구체적 진전은 없다고 밝혔다. 또 방위비 문제에 대한 논의는 이뤄지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