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 수주가뭄 비상] 민간 위축에...올해도 해외·공공 주목하는 건설사들

그래픽아주경제
[그래픽=아주경제]
건설 경기가 위축되고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위기로 자금조달 여건이 악화하면서 민간 건설 투자 위축이 심화하고 있다. 이에 건설사들은 해외 및 공공 발주 시장에 기대를 걸고 있다. 민간투자가 위축된 상황에서 정부와 공공기관이 건설 경기 활성화를 위해 발주를 서두르고 있는 데다, 우크라이나 재건 사업 등 해외 시장 투자 기회가 확대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민간 투자가 단기간에 살아나기 힘든 만큼 정부가 공공 발주 및 해외 사업 수주 확대를 위해 규제 완화 등 대대적인 지원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10일 한국건설산업연구원에 따르면 올해 2월 말 기준 건설사들의 누적 수주액은 21조7160억원으로 전년 동월 대비 16.7% 감소했다. 공공과 민간 수주 모두 줄어들었다. 올해 2월 말 기준 공공 수주는 5조600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8.2% 줄었다. 민간 수주는 16조420억원으로 전년 대비 11.8% 감소했다.

문제는 올해 경기 침체로 일감이 더욱 줄어들 가능성이 높다는 점이다. 이에 건설사들은 올해 공공발주와 해외 시장에 눈길을 돌리고 있다. 건설 경기 침체 장기화로 어려움을 겪는 건설업계를 지원하기 위해 공공 공사비의 물가 인상을 현실에 맞게 반영키로 했고, 경기 활성화를 위해 대규모 발주를 예고하면서다. 

국토교통부는 국민 안전과 건설경기 회복 도모를 위해 올해 총 58조원에 달하는 예산을 투입할 계획이다. 이 중 새로 추진되는 SOC(사회기반시설) 사업은 총 47건으로, 총 사업비 기준 총 18조8000억원에 달한다. 국토부는 올 상반기에만 약 70%에 달하는 예산을 집행할 방침이다.

국토부 산하 공공기관도 대규모 발주에 나선다. 각 기관별로 한국도로공사 6조7907억원, 철도공단 6조3979억원, 한국수자원공사 2조3600억원, 한국토지주택공사(LH) 19조1239억원이다. 특히 LH의 발주물량은 역대 최대 규모다.

해외 시장 진출도 속도를 낸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간 종전 협상이 본격화될 조짐을 보이면서 우크라이나 재건 시장이 국내 건설사들에게 새로운 기회로 떠오르고 있는 만큼 수주 지원을 본격화한다는 방침이다. 

국토교통부는 올해 해외건설 수주 목표액을 지난해 371억 달러보다 34.8% 증가한 500억 달러로 설정했다. 해외건설협회에 따르면 1월 1일부터 2월 28일까지 해외건설 수주액은 총 47억4770만 달러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 동기(21억5010만 달러) 대비 121% 증가한 수치이며, 2020년(93억7000만 달러) 이후 최대 규모다. 해외건설 연간 수주액은 지난 2010년 716억 달러로 정점을 찍은 뒤 2015년 461억 달러로 감소헀다. 이후 2020년부터 지난해까지 300억 달러대를 유지하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도 올해 우리나라의 해외 플랜트 수주 목표를 지난해 341억 달러보다 소폭 증가한 350억 달러(약 51조4185억원)로 제시하고 해외 수주 활동 적극 지원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전문가들은 민간 투자가 단기간에 회복되기는 어려운 만큼 정부가 적극적으로 나서 경기 회복의 마중물 역할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심형석 우대빵연구소 소장은 "과거 경제 위기 시기에도 여러 토목 정책을 통해 건설 경기 회복에 나선 경험이 있다"며 "장기적으로는 민간이 다시 살아날 수 있도록 여러 규제 완화 등의 정책이 필요하지만, 당장은 공공 발주와 해외 시장에서 건설사들이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다만 민간 투자가 위축된 상황에서 공공과 해외 시장만으로는 건설 경기 회복 효과가 제한적일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고준석 연세대 상남경영원 주임교수는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 이후 조기 대선 정국으로 인해 정치적 불확실성이 여전해 정책 동력이 약화됐고,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정책으로 인한 여파도 상당하다"며 "결국 민간 투자가 뒷받침되지 않으면 경기 회복 시기는 더 늦어질 것"이라고 지적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