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저격한 이복현 "상법 재의요구안 미표결 위헌…내로남불"

  • "헌법재판관 임명 지연 반헌법적이면, 미표결도 위헌"

  • "MBK검사 유의미한 사실 확인…검찰‧증선위 조치 예정"

  • "한화에어로 미흡시, 횟수에 관계없이 정정 요청"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10일 서울 금융투자협회에서 열린 자산운용사 CEO 간담회 후 브리핑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10일 서울 금융투자협회에서 열린 자산운용사 CEO 간담회 후 브리핑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상법 개정안 국회 재의결을 앞두고 더불어민주당을 ‘내로남불’이라고 저격했다. 민주당이 상법 개정안 표결을 미루려는 움직임을 보이자 즉각 비판을 내놓은 것이다.
 
이복현 금감원장은 10일 서울 여의도 금융투자협회에서 열린 자산운용사 최고경영자(CEO) 간담회를 마친 후 브리핑에서 “상법 (개정안) 재의요구권 미표결은 헌법 취지에 반한다”며 “헌법 제53조는 (정부가) 재의요구권을 행사하면 국회는 재의를 하도록 정하고 있다”고 말했다.
 
앞서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이 상법 개정안에 대해 거부권을 행사한 상황에서 개정안에 대한 재표결이 필요한 시점이다. 그러나 정치권에 따르면 민주당은 재표결을 진행하지 않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표결을 미루다 차기 정권이 들어서면 거부권을 철회할 수 있다는 계산이 깔린 것으로 분석된다.
 
이 원장은 이 같은 움직임에 대해 ‘내로남불’이라며 강하게 비판했다. 그는 "엄격한 잣대로 헌법재판관 임명 지연에 대해서 반헌법적이라고 비난을 해놓고 헌법이 명확히 정한 재의 절차를 미루는 것은 '내로남불'"이라며 "헌법재판관 임명 지연이 위헌이면 미표결도 위헌"이라고 말했다.
 
이 원장은 민주당이 소수 주주 보호에 진심이라면 재계가 명분으로 삼는 과도한 형사처벌도 같이 개선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 원장은 "주주 보호 원칙 도입을 통해 주주 원칙 도입을 시작으로 평평하게 만들 수 있다"며 "또 다른 기울어진 운동장은 형사처벌의 운동장이며, 이를 시정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는 "그 칼은 민주당 측에서 쥐고 있고, 이를 외면한다면 1500만 투자자를 외면하는 것과 같은 것"이라고 덧붙였다.
 
아울러 이 원장은 홈플러스 사태와 관련한 MBK파트너스 대상 검사와 관련해서는 “유의미한 사실 관계가 파악됐다”며 “검찰·증권선물위원회와 필요한 절차를 진행 중”이라고 말했다. 절차에 따른 조치는 4월 중 이뤄질 예정이다. 앞서 금감원은 홈플러스 사태와 관련된 MBK파트너스에 대한 여러 의혹을 조사했다. 이 원장은 줄곧 MBK파트너스 건은 "검사·조사를 매우 엄하게 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이 원장은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유상증자에 대해선 "작년 두산 때와 같이 투자자 등 이해관계를 판단할 필요한 정보를 충분히 증권신고서에 기재하고 그 내용이 주주들에게 전달될 수 있는 소통 과정, 절차가 지켜져야 한다'며 "부족함이 있다면 횟수에 관계없이 증권신고서 정정요구를 하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