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해 디지털 성범죄 피해자가 1만명을 넘어섰다. 이중 10·20대 피해자가 80%에 달했다.
10일 여성가족부와 한국여성인권진흥원이 발표한 '디지털 성범죄 피해자 지원 현황' 분석 결과 지난해 디지털 성범죄 피해자가 1만305명으로 집계됐다고 10일 밝혔다. 전년(8983명)보다 14.7% 증가한 수치다.
피해자 중 여성은 7428명(72.1%), 남성은 2877명(27.9%)이었다. 연령대별로는 10대 2863명(27.8%)과 20대 5242명(50.9%)으로 전체 피해자의 78.7%에 달했다. 여가부는 사회관계망 서비스, 메신저, 익명기반 플랫폼 등을 활발히 이용하는 연령대에서 피해가 집중적으로 발생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특히 합성·편집으로 인한 디지털 성범죄 피해가 크게 늘었다. 전반적으로 불법촬영, 유포, 유포협박 등 피해 유형은 전년도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지만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합성·편집 피해 건수는 1384건으로 전년(423건) 대비 961건(227.2%) 증가했다. 이러한 합성·편집 피해의 경우에도 10·20대가 92.6%로 압도적으로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사이버 괴롭힘 또한 10대와 20대에서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다.
여가부는 디지털성범죄 피해자 보호·지원을 강화하기 위해 중앙 및 지역 피해 지원 기관의 법적 근거를 마련해 오는 17일 시행을 앞두고 있다. 딥페이크 성범죄 확산에 대응해 지난해 11월 관계부처 합동으로 '딥페이크 성범죄 대응 강화 방안'을 발표했으며 후속 조치를 추진 중이다.
또 10대 피해 비중이 증가하고 있는 점을 감안해 아동·청소년의 눈높이에 맞는 예방 교육 콘텐츠 및 교육 자료를 제작·배포해 디지털 성범죄에 대한 대응 역량도 강화할 방침이다. 신속한 삭제 지원과 모니터링도 강화하고 국외 사이트에 대한 대응을 위해 해외 지원기관과의 협력 관계를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신영숙 여가부 차관은 "앞으로도 디지털성범죄 피해를 선제적으로 지원할 수 있도록 대응 방안을 끊임없이 강구하겠다"고 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