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활용 '챗봇 마케팅' 활발한데...국산 메신저만 잠금 상태

  • 디스코드 등 봇 연동으로 시장 확대

  • 네카오 자동화 지원 안해 사업 난항

  • "지나친 규제 혁신 모델 발굴 막아"

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개인정보보호 규제에 대한 국내 기업의 우려가 인공지능(AI) 연계 메신저 사업 발목을 잡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특히 카카오톡 등 주요 플랫폼의 자동화 프로그램 접근성이 낮아 AI 마케팅 시장이 해외 메신저 중심으로 확산되는 양상이다.
 
10일 독일 데이터 분석·통계 제공 기업 스타티스타에 따르면 지난달 기준 텔레그램 사용자 약 4500만명이 매일 봇(Bot·자동 메시징 서비스) 기능을 활용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봇은 사용자 본인뿐 아니라 타인에게도 메시지를 자동 전송할 수 있는 기능이다. 봇 사용자가 증가한 배경에는 AI를 결합한 마케팅 사업 성장이 있다고 업계는 설명한다.
 
사례로는 AI 챗봇 플랫폼인 봇프레스와 매니챗은 텔레그램과 디스코드를 활용해 고객 상담을 자동화하고 있으며, 패션 업계에서는 온라인몰이나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올라온 신제품 게시물을 감지해 AI가 디스코드로 자동 공지하는 사례도 등장했다.
 
이미지 생성 플랫폼 미드저니도 디스코드 메시지 전송기능과 AI 생성 모델을 통합해 채팅창에 텍스트를 입력하면 AI가 생성한 이미지를 전송한다. 지난해 기준 디스코드 사용자 1500만명이 미드저니 봇을 활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스타그램 메시지 전송기능을 AI와 연계해 상품 소개와 고객 문의를 자동화하는 사례도 늘고 있다.
 
자동화 프로그램의 간편화와 AI 성능 향상으로 중소기업, 스타트업, 개인사업자도 메신저를 활용한 AI 마케팅에 뛰어들며 관련 시장이 더욱 확대될 전망이다.
 
반면 AI와 메신저 연계라는 글로벌 트렌드에도 카카오톡 등 국내 메신저 활용도는 크게 떨어진다. 카카오의 카카오톡과 네이버의 라인은 주요 자동화 프로그램과 연동을 지원하지 않아 개인이나 소규모 기업이 국내 메신저를 활용한 AI 사업을 추진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특히 카카오톡의 비즈니스 API 정책은 승인 없는 메시지 자동 전송과 인증 없는 자동화 프로그램 연동을 금지하며, 일부 기업의 알림 메시지만 고객 동의하에 제한적으로 허용한다.
 
업계 관계자는 국내 메신저의 폐쇄적 접근성은 개인정보보호를 둘러싼 정부의 보수적인 규제에서 비롯됐다고 설명했다. 관련 규제는 개인정보보호법, 정보통신망법 등이 있다. 규제 당국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개인정보보호위원회, 방통위까지 세 곳에 달하고, 개인정보보호 위반으로 인한 국내 처벌 사례가 빈번한 점이 접근성 개방에 걸림돌로 꼽힌다.
 
정부 부처 관계자는 “과거 개인정보 유출로 인한 범죄 사례가 잦았던 탓에 사회적 분위기가 정보보호에 극도로 예민해졌고 이는 규제 강화와 기업의 소극적 태도로 이어졌다”고 설명했다.
 
이같은 상황에 따라 국내 기업의 AI 활용 사업 모델 개발이 글로벌 트렌드에 뒤처질 수 있다는 우려를 낳고 있다.
 
김승주 고려대 정보보호대학원 교수는 “해외는 기술 개발을 우선하고 문제가 생기면 규제하는 네거티브 방식인 반면 한국은 모든 것을 사전에 규제한 뒤 조금씩 풀어주는 포지티브 방식이라 AI 기반 사업이 뒤처지고 있다”며 “특히 개인정보와 신용정보에 대한 과도한 규제로 인해 국내 기업이 혁신적인 비즈니스 모델을 발굴하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