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환율에 단거리 해외여행 뜬다...中 하늘길 확대하는 항공업계

 
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올 하반기부터 본격 시작되는 중국인 단체관광객 한시적 비자면제 조치를 앞두고 항공업계가 중국노선을 확대하는 등 대대적인 관광객 채비에 나섰다. 특히 고물가, 고환율 등으로 미국·유럽권 보다 중국과 일본으로 향하는 단거리 여객이 늘어날 것으로 기대되면서 관련 항공편을 적극 늘리는 추세다.

12일 항공업계에 따르면 올 하계(3월30일~10월25일) 기간 항공사들은 국내 공항에서 운항하는 중국·일본 노선을 128개로, 지난해 115개보다 13개 늘렸다. 현재 여객편을 운항하는 10개 항공사 중 장거리 노선 중심인 에어프레미아를 제외한 모든 항공사가 중국 또는 일본 노선을 증편하거나 신규 취항한다.

대한항공은 지난해 말 취항한 인천∼푸저우 노선을 기존 주 3회에서 주 4회로 1회 운항을 확대한다. 이에 따라 올해 하계 기간 중국 노선에서 주당 195회 운행하면서 2019년 수준의 약 90%를 회복했다. 일본 노선은 다음 달 18일 인천∼고베 노선에 신규 취항해 주 2회 운항한다.
 
아시아나항공은 최근 인천발 충칭, 청두 노선에 취항해 주 7회(매일) 항공편을 띄우기로 했다. 인천∼다롄 노선은 주 7회에서 10회로, 인천∼옌지 노선은 주 5회에서 7회로 운항을 늘렸다. 오는 28일부터는 8회로 더 늘릴 예정이다. 인천∼창춘은 주 4회에서 9회로, 인천∼창사는 주 4회에서 5회로 증편한다.
 
제주항공은 중국 하늘길 중 제주발 시안, 홍콩 노선에서 주 2회로 운항을 재개한다. 인천발 오사카 노선은 지난해 하계 스케줄 기간 주 22∼27회 운항하다가 올해 28회로 늘렸고, 인천발 마쓰야마 노선은 주 7회 운항하던 것을 주 14회로 2배 늘렸다.
 
티웨이항공은 오는 21일과 22일 중국 옌지로 향하는 청주발, 대구발 주 3회 노선에 각각 취항한다. 5월 22일부터는 인천발 우한 노선에도 주 3회 항공편을 띄운다. 이밖에 에어부산은 부산발 중국 옌지 노선을 주 3회에서 6회로 증편하고, 장자제 노선은 주 4회에서 6회로, 부산∼시안 노선은 주 2회 재운항하기로 했다. 이스타항공은 제주∼상하이(주 7회), 청주∼장자제(주 4회) 노선을 편성했다.  

물가와 환율 부담이 지속해서 높아지고 있는 만큼 장거리보다는 중국과 일본을 중심으로 한 단거리 여행 인기가 연말까지 이어질 것이라는 게 항공업계 분석이다. 실제 국토교통부 항공포털시스템에 따르면 올 1분기 중국 여객수는 351만명으로 전년동기 대비(286만명) 약 23% 증가했다. 중국 정부가 지난해 11월부터 한국인 단기 여행객을 대상으로 무비자 정책을 시행하면서 여행 수요가 늘어난 영향이 크다. 올 3분기부터는 한국도 중국 단체관광객을 대상으로 한 무비자 입국을 허용할 예정이다. 

올해 일본 여객수 역시 621만명(2024년 1분기)에서 682만명(2025년 1분기)으로 1년 만에 10% 늘었고, 대만 여객수도 125만명(2024년 1분기)에서 141만명(2025년 1분기)으로 13% 증가했다. 반면 같은 기간 스페인·프랑스 여객수는 지난해와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고, 하와이는 13만명(2024년 1분기)에서 11만명(2025년 1분기)으로 15.4% 줄었다. 다만 미국은 122만명에서 133만명으로 9% 늘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