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항공, 1분기 매출액 3.9조로 역대 최대...고환율 효과에 영업익 19% 감소

  • 당기순이익 1932억원으로 전년비 44% 급감

  • 신규 항공기 도입, 정비비 비용 증가...환율 상승 효과로 수익성 '뚝'

  • 미국 관세 영향 모니터링 강화하고 동남아, 중국, 일본 노선 확대

대한항공
[사진=대한항공]


대한항공은 올해 1분기 매출액이 3조9559억원, 영업이익 3509억원을 기록했다고 11일 밝혔다.

영업이익은 전년동기대비 19% 줄었지만 매출액은 3% 증가해 역대 1분기 최대 실적을 세웠다.

같은기간 당기순이익은 3452억원에서 1932억원으로 44% 줄었다.

영업이익이 줄어든 배경에는 B787-9, B787-10 등 신규 항공기 도입에 따른 감가상각비와 정비비 증가, 환율상승에 따른 조업단가 인상 등의 영향을 받았다. 대한항공은 지난해 2분기부터 올해 1분기까지 총 16대의 신규 항공기를 도입했다.

대한항공 측은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지연됐던 신규 항공기를 들여오면서 중·장기적 공급 확대와 서비스 고급화를 위한 투자를 늘렸다"면서 "이를 통해 네트워크를 확대하고 서비스를 개선해 수익성을 개선하겠다"고 말했다.

올 1분기 여객 사업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4% 늘어난 2조4355억원을 기록했다. 전반적인 항공시장 공급 증가에 따른 경쟁 심화 및 대내외적 불확실성에도 지난 1월 설 명절과 3월 연휴 효과 등으로 견조한 여행 수요가 지속된 덕이다.

같은기간 화물사업 매출은 6% 증가한 1조540억원을 기록했다. 미국 트럼프 2기 행정부의 관세 정책 등의 영향에도 고부가가치 제품인 전자상거래, 전자제품, 자동차 부품 출하가 증가했고 한국발 신선 화물 등의 수요가 견조하게 지속된 영향이다. 

아울러 유연한 공급 조정과 고정 수요 확보 등의 노력을 통해 화물 부문의 수익을 제고했다고 대한항공은 설명했다.

올해 2분기에는 5월 초 연휴를 필두로 여객 수요가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수요가 높을 것으로 기대되는 동남아, 중국, 일본 노선에서 신규 취항지를 발굴하고 부정기편을 투입해 수익을 극대화한다는 계획이다.

화물 사업의 경우 미국의 관세 부과에 따른 항공화물 변동성 추이를 면밀히 분석하며 적시 대응한다는 방침이다.

한편, 이번 1분기 실적은 모회사 실적만 반영하는 별도 기준으로 작성돼 자회사로 편입된 아시아나항공의 실적은 담겨 있지 않다.

통합 대한항공의 실적은 두 항공사가 완전한 결합을 마치는 내년 말 이후부터 가능할 전망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