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명 신안산선 공사장 지하터널·도로 붕괴 사고...작업자 1명 고립·1명 실종(종합)

  • 실종자 1명 생존 확인 안돼

  • 국토부 사고대책본부 구성

  • 박상우 장관 "사고수습 최선"

사진연합뉴스

경기 광명경찰서 등에 따르면 이날 오후 3시 17분께 광명 양지사거리 부근 신안산선 제5-2공구 현장에서 붕괴 사고가 발생했다. 사진은 구조대원들이 사고현장을 살펴보며 수색작업을 하고 있는 모습. [사진=연합뉴스]

붕괴 우려로 작업이 전면 중단됐던 경기 광명시 일직동 신안산선 공사 현장에서 붕괴 사고가 발생했다. 사고로 인해 작업자 중 1명이 지하에 고립되고, 1명 실종됐다.

11일 경찰과 소방당국에 따르면 이날 오후 3시 13분께 광명시 양지사거리 부근 신안산선 복선전철 제5-2공구 포스코이앤씨가 시공 중인 지하터널 공사 현장과 상부 도로가 함께 붕괴하는 사고가 났다.

이로 인해 현장에 있던 작업자 17명 중 도로 상부에서 안전진단을 하고 있던 5명이 한때 연락이 두절됐다. 이후 3명은 안전이 확인됐다. 하지만 굴착기 기사 A씨는 연락이 닿았으나 지하에 고립된 것으로 파악됐으며, 공사 근로자 B씨는 사고 발생 1시간 30분이 넘도록 실종 상태이다. A씨의 부상 정도는 확인되지 않았다.

현재 소방당국은 드론을 이용해 A씨의 위치를 파악한 후 구조 작업을 벌이고 있다. 실종자인 B씨는 생존 확인이 되지 않고 있다. 이에 경찰은  위치 추적 등을 통해 B씨의 소재를 파악 중이다.

A씨와 B씨는 지하터널의 상부인 도로 위 상판에서 다른 근로자들과 함께 안전진단 작업 등을 하고 있는 과정에 사고를 당했다.

지하터널의 깊이는 30여m 정도로, 아직 터널 바닥 아래로까지 땅 꺼짐이 발생하지는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또 공사 현장 인근 식당과 자재상 등이 있는 2층짜리 건물 2개 동에서도 보고된 인명피해는 현재까지 없다. 

다만 광명시는 이 부근에 초등학교와 아파트, 교회, 상가 등이 위치해 있는 만큼 추가 붕괴를 우려해 인근 주민들에게 대피 권고를 내린 상태다.

앞서 이날 0시 30분께 이 현장에서는 '투아치(2arch)' 구조로 시공 중인 지하터널 내부의 가운데 기둥(버팀목) 다수에 균열이 발생했다는 신고가 접수됐다.

공사 관계자들은 광명시에 사고 우려가 있다고 신고했으며, 이후 경찰이 대응에 나 공사 현장을 지나는 광명 양지사거리부터 안양 호현삼거리까지 오리로 1㎞ 구간을 통제하고 안전조치를 했다. 현장에서 일하던 17명은 자력으로 대피했으며, 다친 사람은 없었다.

국토교통부와 포스코이앤씨 등은 공사 현장 지하 및 지상에서 균열이 생긴 원인 분석 및 보강공사를 위한 안전진단에 착수했다.

또한 국토부는 박상우 장관을  본부장으로 사고대책본부를 구성했으며, 신안산선 민간투자사업의 사업시행자인 넥스트레인도 현장에 사고수습본부를 설치하여 사고 대응 중에 있다.

박 장관은 사고 수습을 위해 현장으로 이동 중이며, 국토부 철도국장, 국가철도공단 이사장 등이 현장에 도착하여 사고 상황 파악 및 수습을 진행 중이다. 
 
박상우 국토교통부 장관은 "인명피해 최소화를 위해 최선을 다하고, 관계기관(소방청, 경찰청, 광명시, 국가철도공단 등)과 협력해 사고현장 수습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