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동연 경기도지사 측은 더불어민주당 대선특별당규준비위원회(당규위)가 12일 대통령 후보 선출 방식을 '당원 50%, 일반 여론조사 50%'로 잠정 결정하자 "국민과 민주 진영의 염원을 외면한 것"이라고 반발했다.
이날 김 지사 측은 "이번 발표는 노무현·문재인 전 대통령이 만든 자랑스러운 국민경선 원칙을 파괴하지 말아 달라는 요구를 내팽개친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또 이춘석 특별당규위원장에게는 "모든 후보 측이 다 받아들이기 어려울 것이라 했는데 반발하는 후보 측이 있고 조용한 후보 측이 있다. 어떻게 된 것인가"라고 되물었다.
김 지사 측은 확정된 경선 방식에 대해 세 가지 이유에서 반발했다. 김 지사 측은 "첫 번째로 민주당이 오랫동안 지켜왔던 국민경선 원칙을 스스로 무너뜨렸다"고 지적했다.
이어 "두 번째로 민주당은 '역선택'의 원칙을 접은 적이 없다"며 "제도의 가치와 유용성이 워낙 크기에 약 20년간 지켜왔다. 국민경선을 못 하겠다는 것은 국민을 믿지 못하겠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세 번째로 민주당 대선 후보는 공정한 경선 룰을 통해 선출돼야 한다"며 "누가 더 유리하겠다는 것이 뻔히 보이는 것은 공정하지 않다"고도 했다.
그러면서 "이재명 민주당 예비 후보는 입장을 밝히고 결정에 문제가 있다고 느낀다면 당규위의 결정을 바로잡는 역할을 해달라"며 "박찬대 더불어민주당 대표 직무대행과 최고위원들 역시 당규위의 결정을 바로잡아달라"고 촉구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