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해 월봉서원, 유교 사상과 예술의 소통 장으로 '2025 K-강학회' 개최

  • 전통 강학과 향사의 융합으로 전통 교육의 새로운 모델 제시

김해 월봉서원은 14일부터 18일까지 월봉 K-강학회 유교 인문주간을 개최한다사진김해월봉서원
김해 월봉서원은 14일부터 18일까지 '월봉 K-강학회 유교 인문주간'을 개최한다.[사진=김해월봉서원]

김해 월봉서원은 김해시 주최로 오는 14일부터 18일까지 5일 간, ‘2025 월봉 K-강학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는 ‘오래된 미래, K-강학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전통 서원의 강학(講學)과 유교 인문학을 현대적 관점에서 재조명하는 자리로 마련된다.

‘월봉 K-강학회 유교 인문주간’ 동안, 서원 대청마루에서 진행될 이 행사는 강연뿐만 아니라 전시와 체험 프로그램을 포함한 다양한 행사로 시민들에게 유교 사상과 예술을 아우르는 풍성한 소통의 자리를 제공한다.

첫날은 한국고전번역원의 정석태 교수가 ‘유교사상과 서원인문학’이라는 주제로 기조 강연을 진행한다.

이어 둘째 날에는 ‘김해의 서원과 전통 강학’을 주제로 김해 지역과 유교 사상 간의 관계를 짚어보는 강연이 이어진다. 정석태 교수는 김해 서원에서 이루어졌던 전통 강학을 현대적으로 해석하며, 시민들과의 소통을 강조할 예정이다.

셋째 날에는 부산대 이준규 교수의 강연이 진행된다. ‘공자의 심법’과 월봉서원의 강학 공간인 일신재, 화산정사 등을 탐구하며, 유교와 불교의 심법 차이를 비교하는 내용도 포함된다. 특히 화산정사는 기호학파 율곡학을 계승한 간재학파의 중요한 거점으로, 그 공간적 특징에 대해서도 깊이 있는 논의가 이뤄질 예정이다.

오는 17일에는 월봉서원의 향사일로, 제사공간과 강학공간이 융합된 전통 서원의 고유성을 살펴보는 강연이 진행된다.

월봉서원 원장 성백효 교수는 전통적 제례와 강학의 결합을 다루며, 서원 강학의 본질과 그 교육적 특성을 재조명할 예정이다. 성 교수는 한문 번역학과 유교 경전학의 권위자로, 전통 강학을 현대적 방식으로 재현할 계획이다.

이번 강학회는  월봉서원이 소장한 간재학파 선비들의 초상화와 서찰, 다양한 예술 작품을 전시할 예정이다. 전시 작품을 통해 유교 사상과 문학, 예술이 어떻게 영호남 지역 문인들 간의 교류와 소통의 매개체가 됐는지 확인할 수 있다.
 

월봉서원은 이번 강학회를 통해 전통 교육사상을 K-컬처로 확장할 계획이다. 시민들은 서원 대청마루에서 유교의 깊이를 배우고 전통과 현대를 아우르는 체험을 할 수 있다.


월봉서원 관계자는 이번 행사에 대해 “전통과 현대의 만남을 통해, 유교 사상과 예술의 가치가 더욱 널리 퍼지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3
0 / 300
  • 종묘대제, 사직대제. 그리고 성균관.향교의 석전대제.
    https://blog.naver.com/macmaca/222092679769
  • 하층주변부나 억압대상으로 살아오게 한것은 잘한일입니다. 기자조선이 있어서, 삼한의 제천의식이 있었고, 세계종교 유교의 성립으로 한사군 낙랑의 선진문화를 흡수한 부여 영고, 부여의 선진문화를 흡수한 고구려 동맹의 제천의식이 있었습니다. 기자조선과 한사군의 유교문화가 강하게 스며든, 삼한의 제천의식, 부여 영고, 고구려 동맹, 예의 무천이 삼국시대, 고려시대, 조선초까지 이어지고, 대한제국때 다시 부활하여, 현재는 고종 후손 황사손(이 원)의 제천의식인 환구대제가, 해동天子國전통을 가진 현대의 한국에서 시행중. 또한 황사손(이원)의
  • 유교가 도교, 법가, 음양가, 묵가나, 인도발 외래신앙인 불가에 얼마나 영향을 받았는지, 모르지만, 유교는 하느님을 모르는, 무군부무의 부처 Monkey불교를 배격해 온건 맞음.@한국은, 기자조선이 있어서, 하느님을 숭배하고, 조상신도 숭배하는 수천년 전통이 있어온걸 다행으로 생각해야 합니다. 예의범절있는 동방예의지국으로 대우받게 한 기자조선. 인도발 외래신앙인 부처 Monkey의 불교가, 하층주변부 신앙으로 살면서, 하느님.창조신을 거부하고 부처가 창조신보다 높다고 하거나, 조상제사를 거부하는 금수 부처의 불교를 막아내고, 하층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