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사진=AFP·연합뉴스]
미국이 12일(현지시간) 스마트폰, 컴퓨터 등을 상호관세 부과 대상에서 전격 제외했다. 145%에 달하는 관세폭탄을 맞은 중국에 생산기지를 둔 삼성전자, 애플과 같은 기업들도 일단 한숨을 돌리게 됐다. 다만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4일 발표를 예고한 ‘반도체 품목별 관세’라는 변수가 남아 있어 불확실성이 지속될 전망이다.
미 관세국경보호국(CBP)은 11일 ‘특정 물품의 상호관세 제외 안내’를 공지하고 스마트폰과 노트북 컴퓨터,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컴퓨터 프로세서, 메모리칩, 반도체 제조 장비 등을 상호관세 대상에서 제외한다고 밝혔다.
외신들은 이번 조치가 미국 외 생산 비중이 큰 삼성전자, 애플, 델, 엔비디아, TSMC 등에 도움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블룸버그통신은 트럼프 미 행정부의 이번 결정이 지난해 미국의 대(對)중국 수입액 중 22%인 1016억 달러(약 145조원) 규모의 제품에 영향을 끼친다며 악화일로를 걷던 미·중 관계에 첫 완화 조치로 해석했다.
미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미국의 스마트폰 수입품 중 중국산은 81%에 이른다. 컴퓨터 모니터 수입품은 78%가 중국산이다. 기술업계 전문가로 알려진 미국 웨드부시증권의 댄 아이브스 애널리스트는 “대중국 협상과 관련해 여전히 불확실성과 변동성을 앞두고 있지만 빅테크(대형 기술 기업)들은 큰 안도의 한숨을 쉴 수 있을 것”이라고 평가했다.
미국은 현재 중국에 추가 관세 20%를 포함해 총 145%의 관세를 부과하고 있다. 중국을 제외한 국가에는 상호관세를 부과했지만 이를 90일간 유예하고, 10%의 기본 관세만 부과하고 있다. 미 뉴욕타임스(NYT)는 ‘좀비 마약’으로 불리는 펜타닐 대응 등을 위해 미국이 중국에 부과한 20%의 추가 관세는 그대로 유지된다고 보도했다.
하지만 이번 관세 면제는 일시적일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마이애미로 이동하는 대통령 전용기에서 기자들과 만나 반도체의 품목별 관세와 관련해 “14일에 그에 대한 구체적인 답을 주겠다”고 말했다.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도 성명에서 “관세를 공정하고 효과적으로 적용하기 위해 자동차, 철강, 의약품, 반도체 등은 다른 관세에 포함될 것”이라며 “트럼프 대통령은 반도체에 대한 무역확장법 232조 조사 결과를 곧 발표할 것”이라고 밝혔다.
무역확장법 232조는 수입 제품이 국가 안보에 위협을 끼칠 경우, 긴급 조치를 할 수 있는 권한을 대통령에게 부여한 조항이다. 앞서 철강·알루미늄, 자동차에 각각 부과된 25%의 품목별 관세는 이 조항에 따라 발효됐다.
트럼프 대통령은 반도체, 의약품 등에 대한 품목별 관세 방침을 반복적으로 밝혀 왔다. 블룸버그는 “이번 스마트폰, 노트북 등에 대한 관세 유예는 일시적일 수 있으며 조만간 다른 유형의 관세가 적용될 수 있다”고 전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