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경수 대선 출마 "행정수도 세종시 이전·빛의 연정으로 대개혁"

14일 MBC 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에 출연한 김경수 전 경상남도지사 사진방송화면 갈무리
14일 MBC 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에 출연한 김경수 전 경상남도지사. [사진=방송화면 갈무리]

김경수 전 경상남도지사가 14일 행정수도 세종시 이전과 빛의 연정을 강조하며 오는 6·3 조기 대선 전략과 비전을 제시했다.
  
김 전 지사는 이날 오전 MBC 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에서 “대한민국 국가 운영의 틀을 바꿔야 한다”며 “수도권이 대한민국 유일한 성장축으로 돼 있는데 이렇게 해서는 대한민국의 성장 전략과 미래가 없다. 전국을 5개의 권역으로 나누고, 수도권을 포함해서 5대 성장축으로 다양화해야 한다”고 출마 배경을 설명했다. 
 
그는 진행자의 ‘메가시티 관련 행정수도 이전’ 질문에 “대한민국 수도는 서울이고 행정수도를 세종시로 옮기자는 게 헌법재판소 위헌으로 중단됐다”며 “많은 행정기관이 (세종시로) 내려가 있고 국회와 대통령실까지 이전해서 마무리하는 것이 대한민국 전체 구조를 짜는 데 확실한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또 ‘개헌 없이 가능하냐’는 물음에 “이번 대선 때 개헌을 (같이) 했으면 가장 확실한데 국민의힘이 내란 세력과 절연, 결별하지 않으면서 물 건너갔다”며 “다음 지방선거 때나 가능하게 됐는데, 개헌하지 않더라도 특별법으로 추진하는 방안도 있다. 혹시라도 특별법을 다시 위헌제청하면 이젠 헌법재판소에서 지난번과 같은 (위헌) 판결을 내릴 거로 생각하지 않는다”고 답했다.
 
이어 ‘6월 3일 차기 정부 출범 후, 용산 대통령실 사용 여부’를 놓고 “단 하루도 사용해서는 안 된다”며 “내란의 상징이다. 어느 나라도 대통령과 국방부 장관, 합참의장 소위 전시 지휘체계에 해당하는 핵심 인사들이 한 곳에 몰려 있는 나라가 없다. 방법은 두 가지다. 하나는 서울에 집무실을 두고 다른 하나는 세종시에 집무실로 함께 운영하는 방법이 있다”고 했다.

김 전 지사는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 출마설’을 두고 “한 총리 출마설은 (국민의힘이) 국민을 두 번 속이는 일이다”라며 “국민의힘이 불임 정당으로서 밖에서 후보를 꿔오는 방식으로 또 선거를 치르겠다는 건데 윤석열 한 번으로 이 난리를 쳤으면서 또 그 일을 반복하겠다는 국민의힘이 책임 있는 민주정당의 모습이 아니라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빛의 연정이 무엇이냐’는 질문에 “지난번엔 촛불 혁명(2016~2017년 박근혜 정부 퇴진 운동)이었고 이번이 (윤석열 탄핵) 빛의 혁명이었다”며 “문재인 정부는 촛불 혁명으로 들어섰기 때문에 운영 과정에서 함께했던 세력이 연대해서 국정운영에 참여해야 했다는 아쉬움이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인수위가 없었기 때문에 국정기획자문위원회를 구성했는데, 촛불 혁명에 참여했던 모든 정치 세력과 시민사회가 함께하고 정책을 논의 및 합의해서 내각을 공동으로 출범했더라면 지금 대한민국의 모습이 많이 달라지지 않았을까 하는 아쉬움이 있다. 이번엔 반드시 빛의 혁명에 참여했던 세력이 연정해서 대한민국 사회 대개혁·대개조를 함께 추진해 나가야 성공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6·3 조기 대선 민주당 경선 규칙 권리당원 투표 50% 일반 국민 여론조사 50%’와 관련해 “경선 규칙은 일종의 샅바싸움인데, 길게 하는 건 좋지 않다”며 “당이 결정하면 따르는 게 당원의 도리다. 그 과정에서 가능하다면 후보 진영과 충분히 협의하고 논의해서 가장 바람직한 결론을 내는 것이 맞는다고 생각한다. 국민참여경선의 취지를 살리려면 역선택 우려를 줄이고, 당원의 참여폭을 더 충분히 확대하는 것이 좋겠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