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치적 라이벌 간 리턴매치'로 주목 받았던 에콰도르 대통령 선거에서 친미 성향의 중도우파 다니엘 노보아(37) 대통령이 좌파 루이사 곤살레스(47) 후보를 누르고 연임에 성공했다.
에콰도르 선거관리위원회(CNE)는 13일(현지시간) 치러진 대선 결선에서 개표율 92.00% 기준 국민민주행동(ADN) 소속 노보아 대통령이 55.88%를 득표했다고 밝혔다. 시민혁명운동(RC)의 곤살레스 후보 득표율은 44.12%에 그쳤다.
양 후보 간 득표 수 차이는 100만 표 이상으로 집계됐다. 선관위는 "개표·득표율 상 돌이킬 수 없는 추세"라며 노보아 대통령 당선을 기정사실로 했다.
앞서 노보아 대통령은 2월 1차 투표에서 곤살레스 후보를 불과 0.17%포인트 차이로 앞섰던 만큼, 현지 언론은 이번 투표에서 접전을 예상했다. 하지만 관측과 달리 노보아 대통령은 개표 내내 선두를 유지했다.
노보아 대통령은 당선 확정 이후 "유권자들 뜻에 따라 제 소임을 다하겠다"면서 지지자들에게 감사를 표했다. 이에 곤살레스 후보는 "진실보다 거짓을, 평화보다 폭력을 선호하는 사람들이 더 많다는 것을 믿기 어렵다"면서 "개표 결과를 받아들일 수 없으며, 선관위에 재검표를 요청할 것"이라고 말했다.
노보아 대통령은 수십억 달러 규모의 바나나 기업 상속자로 4년 전 정치에 입문해 2023년 대통령 선거에서 당선되면서 에콰도르 역사상 최연소 대통령에 올랐다. 당시에도 경쟁자는 곤살레스 후보였다.
그는 마약 범죄와 부패에 강경하게 맞서는 등 자신을 법과 질서를 강조하는 대통령 이미지로 유권자들의 지지를 받았다. 이번 선거에서도 기업 친화적 정책 강화와 부패 척결, 군경을 동원한 강력한 치안 유지 등을 주요 공약으로 내세웠다.
노보아 대통령은 현재 에콰도르 정계에서 대표적인 '친미국 성향' 정치 지도자로 이번 대선 유세 과정에 몇 차례 미국을 찾으며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과 친밀감 형성에 주력하는 모습을 보였다.
현지 일간 엘우니베르소는 노보아 대통령이 당파적 정책 수립을 지양함으로써 전통적 정치 문법에 대한 거부감이 큰 청년과 중산층 내에서도 인기를 확보했다고 분석했다. 반면 잦은 정전과 높은 실업률, 베로니카 아바드 부통령과의 정쟁 등으로 비판을 받았다.
한편, 노보아 대통령은 오는 5월 24일부터 '온전한' 임기 4년을 시작할 예정이다. 현재는 탄핵으로 조기 퇴임한 기예르모 라소 전 대통령의 잔여 임기(2023년 11월~2025년 5월)를 수행 중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