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장년층인 4050 세대가 국민연금 보험료 납부 총액(지난해 기준)의 65%를 부담한 것으로 나타났다. 2030 세대의 부담 비율은 35% 수준이다.
14일 국민연금공단이 국회에 제출한 자료에는 지난해 공단이 거둔 국민연금 보험료 60조8000억원의 부담 비율이 담겼다. 이에 따르면 50대 이상이 납부한 금액은 20조7951억원(34.2%)으로 가장 많고 두 번째로 납부액이 큰 연령대는 40대(18조4204억원(30.3%))다.
이에 4050 세대가 전체의 65%에 달하는 보험료를 납부, 30~39세는 14조9868억원(24.6%), 29세 이하는 6조6139억원(10.9%) 비율인 것으로 알려졌다.
4050 세대의 보험료 납부 비율에는 소득 수준이 영향을 미쳤다. 국민연금 보험료는 소득의 일정액을 납부하기 때문에 연령대별 월평균 임금(2023년 기준)이 높은 40대(451만원)와 50대(429만원)가 30대(386만원)와 20대(263만원)보다 납부 금액이 많았다.
또 4050 세대가 다른 세대 대비 인구가 많은 것도 영향을 미쳤다. 실제 국민연금 가입자는 50대가 30.7%(675만2535명)로 가장 많고, 40대 26.7%(586만8673명), 30대 23.8%(524만528명), 30세 미만 16.6%(364만2989명) 순이다.
이와 함께 4050 세대는 내년부터 13%로 높아지는 연금 개혁안에 따라 당장은 추가 부담도 많이 지게 될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기준 연령대별 보험료 납부 비율에 따른 추가 부담액은 40대 이상이 18조원, 30대 이하는 9조원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