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모레퍼시픽 "美 생산시설에 투자"…미국 중심 제조 전환 가속화 검토

  • 블룸버그 "글로벌 뷰티 업계가 미국으로 눈을 돌리고 있다"

 
사진아모레퍼시픽 홈페이지 갈무리
[사진=아모레퍼시픽 홈페이지 갈무리]


김승환 아모레퍼시픽 대표는 앞으로 3~5년 내 미국 내 물류 및 모듈 생산 시설에 투자할 계획이라고 15일 공개된 블룸버그TV와의 인터뷰에서 밝혔다.
 
김 대표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대(對)중국 관세에 대응하기 위해 미국 고객들과 비상계획을 논의하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에 총 145%의 수입 관세를 부과한 반면 한국 등 다른 국가들에 대한 상호관세는 90일간 유예했다. 하지만 기한 안에 트럼프 대통령의 마음에 드는 협상 카드를 제시하지 못하면 발효 시 상호관세가 다시 발효되고, 한국은 25%가 부과된다.
 
아모레퍼시픽은 현재 중국과 한국에서의 생산시설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 하지만 트럼프발(發) 관세로 아시아 주요 제조 허브가 큰 위기를 겪을 것으로 예상되면서, 미국으로의 생산시설 이전 노력에 박차를 가하겠다는 것이다.
 
김 대표는 “실제 생산 시설 가동까지는 5~10년 정도를 생각하고 있지만, 최근의 변화 추세를 고려하면 우리가 조금 더 앞당겨야 하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어 “단기적인 시장 변동성에도 미국 시장에 대한 장기적인 비전과 의지는 변함이 없다”고 덧붙였다.
 
블룸버그는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이 글로벌 기업들의 제조 계획을 방해하고 공급망에 혼란을 야기하는 것을 보여주는 신호라고 짚었다. 이어 “중국의 소비 둔화를 상쇄하기 위해 글로벌 뷰티 업계가 미국으로 눈을 돌리고 있다”고 평가했다.
 
아모레퍼시픽이 목표하고 있는 미국 내 생산은 더 많은 성장 기회를 보고 있는 미국 내 저가 제품 부문을 공략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아모레퍼시픽은 2023년 10월 코스알엑스(COSRX)를 인수한 뒤 북미 매출이 2021년 대비 다섯 배 이상 증가해 지난해 매출 5256억 원을 기록했다.
 
김 대표는 “우리의 스킨케어 브랜드들은 세포라와 같은 고급 화장품 매장이나 아마존 같은 온라인 채널에서 프리미엄 제품으로 높은 판매량을 기록하고 있다”며 “앞으로 미국 시장에서 고급 스킨케어부터 저렴한 제품까지 미국 시장에 맞춘 폭넓은 라인업을 구축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편, 아모레퍼시픽의 달팽이 에센스는 아마존닷컴에서 페이셜 세럼 부문 1위를 차지했다. 또 K-컬처의 세계적 열풍에 힘입어 지난해 한국의 대미 화장품 수출액은 17억 100만 달러(약 2조5000억원)로 프랑스를 제치고 미국 화장품 수출 1위를 기록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