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T가 16일 오전 서울 강남구 안다즈 서울 강남 호텔에서 기자간담회 'KT그룹 미디어토크'를 열고 'KT 미디어 뉴웨이' 전략을 소개했다. 행사에는 김채희 KT 미디어부문장(전무), 신종수 KT 미디어전략본부장(상무), 정근욱 KT스튜디오지니 대표 등이 참석했다.
새 전략은 △AI 플랫폼 △AI 콘텐츠 △사업 모델 혁신 세 가지 축으로 미디어 콘텐츠 사업 전반에 인공지능(AI) 기술을 접목하고 플랫폼 이용 경험을 개선하는데 중점을 뒀다.
먼저 마이크로소프트(MS)와 협력해 상반기내 IPTV 플랫폼 지니 TV에 '미디어 AI 에이전트'를 탑재한다. 지니 TV 가입자는 대화형 거대언어모델(LLM)으로 콘텐츠 탐색과 시청을 직관적으로 경험할 수 있게 된다.
김 전무는 "현재 480만 개의 셋탑을 보유하고 있지만 대화 품질은 좋지 않다"며 "GPT 4o를 기반으로 한국적인 LLM 모델을 만들어 기업 간 소비자간 거래(B2C) 서비스에 첫 번째로 적용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가령 'ENA 채널에서 방영한 군대 배경의 드라마가 뭐지?'라고 이용자가 질문하면 AI 에이전트가 지니 TV 오리지널 '신병'을 찾아 바로 시청할 수 있는 주문형 비디오(VOD)로 연결해주는 식이다.
KT는 지니TV AI 플랫폼을 그룹사에 확대 적용할 예정이다. KT HCN 역시 지니 TV와 같은 IP 방식을 적용할 예정이다.
홈쇼핑 특화 AI 사업도 고민 중이다. 홈쇼핑 사업자들을 위한 지니TV 쇼핑 인사이트에 AI 에이전트를 구축해 매출 성과, 시청 데이터 등을 분석한 AX 프로젝트도 계획했다.

AI 스튜디오 랩은 △투자 심사(AI 기반 흥행 예측 보조 심사관) △기획(AI 보조작가, AI 스토리보드) △제작·편집(AI 음악, CG, 편집) △마케팅·유통(AI 숏폼, 자막, PPL 등)에 이르기까지 콘텐츠 사업 전 과정에서 AI 기술을 적용한다.
KT그룹 콘텐츠 제작을 담당하는 KT스튜디오 지니는 'AI 제작명가, 넥스트 IP 스튜디오'로 전환을 본격화한다. 기존 지니 TV, KT ENA 독점 공개에서 벗어나 넷플릭스, 티빙 등 국내외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OTT)로 유통 채널을 다양화한다.
기존에 가지고 있던 IP를 영화화하는 계획도 밝혔다. 정 대표는 "대표 IP인 신병 시리즈의 세계관과 캐릭터를 있는 그대로 활영해서 '신병 더 무비'라는 영화를 제작 준비 중에 있다"고 말했다.
AI를 활용한 숏폼 콘텐츠 제작에도 진출한다. 정 대표는 "숏폼 제작에 특화한 전문 스튜디오를 구축할 계획"이라고 했다.
IPTV에 광고 기반 무료 콘텐츠 스트리밍 서비스 채널(FAST) 등의 비즈니스 모델도 도입한다. 상반기 중에 지니 TV 플랫폼에 FAST 전략을 적용 후 이를 기반으로 다양한 플랫폼으로 확대할 방침이다.
신 상무는 "현재의 능동적인 시청 소비를 채널만으로는 따라갈 수 없다고 생각한다"며 "VOD도 유료결제가 줄어들면서 관련 광고 시장이 줄어드는 이중고의 상황을 빠르게 타개하기 위한 다양한 전략을 펼쳐나갈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