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행정부, 우방국들과 협상서 中 고립 전략 본격화

  • 관세 협상 테이블에 '중국 견제' 올릴 전망

  • WSJ "美, 관세 협상을 통해 중국 고립 계획"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5일현지 시간 백악관 이스트룸에서 해군 미드맨십 미식축구팀에 트로피를 수여하며 풋볼 공을 들고 있다 사진AFP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5일(현지 시간) 백악관 이스트룸에서 해군 미드맨십 미식축구팀에 트로피를 수여하며 풋볼 공을 들고 있다. [사진=AFP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무역 협상을 이끄는 스콧 베선트 재무부 장관이 한국, 일본 등 주요 동맹국들과의 관세 협상을 앞두고 '중국 견제'를 협상 테이블에 올릴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15일(현지 시간) 사안에 정통한 복수의 소식통을 인용해 "트럼프 행정부는 미국 교역국에 중국과의 거래를 제한하도록 압박하기 위해 현재의 관세 협상을 활용할 계획"이라고 보도했다.
 
WSJ는 미국이 각국에 부과한 관세 완화를 대가로 중국 기업이 타국을 이용해 상품을 선적하고, 관세 우회를 위해 타국 영토로 기업을 이전하고, 타국에 값싼 중국 상품을 쏟아내는 일을 막는 것을 요구할 수 있다고 전했다.
 
이러한 전략은 이미 침체 국면에 접어든 중국 경제에 추가 타격을 가하고 트럼프 대통령과 시진핑 주석 간의 잠재적 회담을 앞두고 중국이 영향력을 약화시키기 위한 압박책으로 풀이된다.
 
WSJ는 “정확한 요구 사항은 중국 경제에 대한 관여도를 고려할 때 국가별로 크게 다를 수 있다”고 설명했다.
 
보도에 따르면 미국 당국자들은 이미 일부 국가와의 초기 협상에서 이러한 구상을 언급했다고 한다. 다만, WSJ은 "반(反)중국 노선이 모든 국가와의 협상에 포함됐는지는 분명하지 않다"라며 "일부 국가는 미국 협상팀으로부터 중국에 관한 요구를 듣지 못했다"고 덧붙였다.
 
특히 최근 트럼프 2기 무역팀에서 '관세 협상 키맨'으로 떠오른 베선트 장관이 이 전략을 지지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베선트 장관은 지난 6일 마러라고 회의에서 해당 전략을 제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전략은 중국과 중국 기업이 미국의 관세, 수출 통제, 기타 경제 제재를 회피하는 것을 막기 위해 교역국으로부터 양보를 끌어내는 것이 목적으로 한다.
 
WSJ은 베선트 장관이 최근 언론 인터뷰 등에서 미국증시 내 중국 기업 주식 퇴출을 배제하지는 않았다며, 이러한 전략은 관세를 통한 중국의 미국 경제시장 접근 차단에 그치지 않고 미국증시에서의 중국 기업 퇴출로도 이어질 수 있다고 전망했다.
 
대부분의 트럼프 행정부 관계자들도 베선트 장관의 전략에 대체로 동의하는 분위기인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베선트 장관은 중국과의 대화 가능성도 열어두고 있으며, 협상이 이뤄질 경우 트럼프 전 대통령과 시진핑 주석의 직접 참여가 필요하다고 밝혔다고 WSJ는 전했다.
 
현재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9일 대중국 관세를 총 145%(추가관세 20% 포함)로 올린 반면 한국 등 나머지 국가에는 상호관세를 90일간 유예하고 10%의 기본관세만 부과하고 있다. 트럼프 행정부는 이 기간 동안 각국과 협상한다는 방침이다.
 
한편 미국은 한국, 일본, 인도, 호주, 영국 5개국을 상대로 우선 협상 방침을 세웠다. 한국에서는 다음주 최상목 경제부총리가 G20재무장관회의 참석차 미국을 방문해 베선트 장관 등과 만나 상호관세 협상에 나설 것으로 알려졌다.
 
일본에서는 아카자와 료세이 경제재생상이 16일 미국으로 출발해 베선트 장관과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 무역대표부(USTR) 대표와 회담을 가질 예정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고궁걷기대회_기사뷰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