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찬대 더불어민주당 대표 직무대행 겸 원내대표는 16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 참석해 “2014년 4월 16일 차가운 바닷속으로 스러져간 304명의 소중한 생명이 여전히 우리 마음속 깊이 자리하고 있다”며 “세월호 이전과 이후는 다른 사회가 될 거라 믿었지만 11년이 지난 지금도 우리는 국가 존재 이유가 무엇인지 묻고 있다”고 말했다.
박 직무대행은 “윤석열 정부 3년 동안 정부의 무대응과 무능력 무책임이 부른 참사로 인해 수많은 생명을 잃으면서 국민은 각자도생의 길로 내몰렸다”며 “이제 악순환을 끊어내고 안전한 나라와 생명이 존중되는 나라를 만들겠단 약속 지키기 위해 민주당이 최선을 다하겠다. 국민 희생에 대한 진실을 밝히고 더는 참사 반복하지 않도록 힘쓰겠다”고 강조했다.
이날 국민의힘은 신동욱 수석대변인 이름의 논평으로 “세월호 참사 11주기, 희생자분들의 영면을 기원한다”며 “여전히 슬픔의 무게를 짊어지고 계신 유가족분들과 생존자분들께도 깊은 위로의 말씀을 전한다”고 했다.
이어 “지난 2월에는 유가족분들의 염원이었던 ‘4.16 생명안전공원’ 착공식이 열렸다”며 “그날의 아픔과 교훈을 잊지 않기 위한 우리의 노력은 계속되고 있다. 국민의 생명과 안전보다 중요한 것은 없다. 국민의힘은 가슴 아팠던 그 날을 기억하며, 앞으로 더 안전한 대한민국을 만들기 위해 혼신의 힘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같은 날 김선민 조국혁신당 당 대표 권한대행도 “찬란하기에 슬픈 4월이 열한 번 흘렀다”며 “통한의 상처는 치유되지 않았다. 왜 구조하지 못했는가, 누가 책임졌는가, 무엇이 달라졌는가라는 질문이 여전히 남아 있다”고 전했다.
또 “국가는 생명을 지키지도, 진실을 밝히지도 못했다. 국민에 대한 책임을 다하지 않았다”며 “세월호 참사를 기억하는 것은 국가가 져야 할 책임을 끝까지 잊지 않겠다는 약속이다. 조국혁신당은 이 약속 앞에서 무거운 책임을 지고 서겠다. 진실을 외면하지 않고, 기억을 실천으로 잇는 길에 함께 하겠다”고 했다.

이준석 개혁신당 의원은 이날 오전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에 “차마 피어나지도 못한 어린 생명을 허무하게 떠나보내야 했던 그 날의 봄을 기억하고 추모한다”며 “개혁신당 대통령 후보로서 과연 세월호 이후 우리 사회가 안전한 세상을 만들기 위한 진정성 있는 논의를 이어왔는지 돌아보며 무거운 마음을 느낀다”고 밝혔다.
이어 “정치권에도 이제 세월호와 같은 국가적 사고를 정쟁화하는 데 몰두할 것이 아니라, 비극적 사고가 재발하지 않도록 머리를 맞대고 협의하는 성숙한 문화가 자리 잡아야 할 것이다”며 “유족과 국민의 아픔을 어루만지되, 동시에 사고 원인을 철저히 분석해 불필요한 정쟁을 조기에 차단하고, 국민이 납득할 만한 대책을 수립하는 합리적이고 이성적인 문화가 정착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용혜인 기본소득당 대표는 “‘기억은 힘이 세다’라는 말을 유가족과 국민께서 실천으로 증명해 주셨다”며 “이제 정치가 바뀌어야 한다. 국민의 생명안전을 지켜야 할 헌법적 책무를 현실 속에서 실천하는 정치로 나아가야 한다”고 언급했다.
그러면서 “4.16 생명안전공원이 무사히 건립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며 “세월호 참사의 진실이 더는 지체되지 않도록, ‘박근혜 7시간’ 대통령 기록물 공개를 강력히 요구하겠다. 진도 앞바다에서 희생된 304분 희생자분을 추모한다”고 밝혔다.
김재연 진보당 대선 경선 후보는 11주기 세월호 기억식에 참석해 “11년이 흘렀지만, 우리의 기억은 그날을 붙잡고 있다”며 “생명과 안전이 더 귀하게 여겨지는 세상을 위해, 우리는 오늘도 싸운다”고 말했다.
같은 당 강성희 후보도 함께 자리해 “세월호 11주기를 기억하고 약속, 책임 지겠다”며 “역사는 기억과 망각의 투쟁이라고 했다. 새로운 정부에서 아직도 인양되지 않은 그날의 진실을 밝히기 위한 모든 노력을 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