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 차관은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일자리TF 회의를 주재하고 "피해 최소화를 위해 고용위기지역 지정 등 가용한 정책수단을 적기에 활용할 수 있도록 만반의 준비를 다할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이날 일자리TF 회의는 통상리스크에 따른 고용영향을 점검하고 향후 대응 방향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또 청년일자리 및 직접일자리 사업 추진상황, 기업 고용애로 해소 핫라인 1분기 추진성과 등을 점검했다.
김 차관은 "미국의 상호관세·품목관세 부과와 중국의 대응조치로 통상환경이 한 치 앞을 예측할 수 없을 정도로 급변하고 있다"며 "통상환경과 밀접한 산업·지역 현장과 긴밀히 소통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지난 2월 경제6단체와 기업 고용애로 해소 핫라인을 설치하고 기업의 건의사항을 수렴·검토해 왔다"며 "이를 통해 반도체 연구개발 특별연장근로 인가제도 보완,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 지원요건 완화 등 기업이 체감할 수 있는 가시적인 제도개선 성과를 창출할 수 있었다"고 평가했다.
김 차관은 "고용애로 해소 핫라인이 원스톱 문제해결 플랫폼으로 자리잡을 수 있도록 기업으로부터 상시 건의사항을 수렴할 것"이라며 "5월에는 정례회의를 개최해 경제 6단체와 추가적인 제도개선 과제를 논의하겠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기업이 일자리를 적극 창출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데 범정부적 역량을 집중할 것"이라고 부연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주요 청년일자리 사업 추진현황 및 향후계획'에 대한 논의도 이뤄졌다. 고용노동부는 청년고용올케어플랫폼 등 '재학-구직-재직' 취업단계별 6대 청년일자리 사업을 선정하여 집중 관리할 방침이다.
또 1분기 중앙부처 직접일자리 사업 채용실적은 역대 최고 수준인 110만8000명을 기록했다. 관계 부처는 취약계층 고용·소득 안정을 뒷받침하기 위해 상반기 목표인 120만명을 초과 달성할 수 있도록 집행관리에 만전을 기할 방침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