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재차관 "수출산업 중심 고용 부진 심화 우려…고용동향 면밀히 점검"

  • 일자리전담반 회의 주재

김범석 기획재정부 1차관 사진기획재정부
김범석 기획재정부 1차관. [사진=기획재정부]
김범석 기획재정부 1차관은 16일 "제조업 등 수출산업 중심으로 고용 부진이 심화될 우려가 커졌다"며 "일자리전담반(TF)을 중심으로 산업·지역 고용동향을 더욱 면밀히 점검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 차관은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일자리TF 회의를 주재하고 "피해 최소화를 위해 고용위기지역 지정 등 가용한 정책수단을 적기에 활용할 수 있도록 만반의 준비를 다할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이날 일자리TF 회의는 통상리스크에 따른 고용영향을 점검하고 향후 대응 방향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또 청년일자리 및 직접일자리 사업 추진상황, 기업 고용애로 해소 핫라인 1분기 추진성과 등을 점검했다.

김 차관은 "미국의 상호관세·품목관세 부과와 중국의 대응조치로 통상환경이 한 치 앞을 예측할 수 없을 정도로 급변하고 있다"며 "통상환경과 밀접한 산업·지역 현장과 긴밀히 소통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 "제조·건설 등 주력산업 고용이 둔화되는 가운데 내수회복이 지연되면서 미래세대인 청년층이 노동시장에 첫발을 내딛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청년층 체감 고용상황 개선을 위해 관련 사업을 속도감 있게 추진하고 청년층의 인지도와 참여율 제고를 위해 각별히 신경써 줄 것"을 당부했다.

이와 함께 "지난 2월 경제6단체와 기업 고용애로 해소 핫라인을 설치하고 기업의 건의사항을 수렴·검토해 왔다"며 "이를 통해 반도체 연구개발 특별연장근로 인가제도 보완,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 지원요건 완화 등 기업이 체감할 수 있는 가시적인 제도개선 성과를 창출할 수 있었다"고 평가했다.

김 차관은 "고용애로 해소 핫라인이 원스톱 문제해결 플랫폼으로 자리잡을 수 있도록 기업으로부터 상시 건의사항을 수렴할 것"이라며 "5월에는 정례회의를 개최해 경제 6단체와 추가적인 제도개선 과제를 논의하겠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기업이 일자리를 적극 창출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데 범정부적 역량을 집중할 것"이라고 부연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주요 청년일자리 사업 추진현황 및 향후계획'에 대한 논의도 이뤄졌다. 고용노동부는 청년고용올케어플랫폼 등 '재학-구직-재직' 취업단계별 6대 청년일자리 사업을 선정하여 집중 관리할 방침이다.

또 1분기 중앙부처 직접일자리 사업 채용실적은 역대 최고 수준인 110만8000명을 기록했다. 관계 부처는 취약계층 고용·소득 안정을 뒷받침하기 위해 상반기 목표인 120만명을 초과 달성할 수 있도록 집행관리에 만전을 기할 방침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