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남도내 주택 매매시장은 위축된 반면, 전·월세 시장은 꾸준히 수요가 이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남도는 급증하는 미분양 해소를 위해 부산·울산과 함께 공동 대응에 나선다.
경남도는 16일 도청에서 ‘주택시장 안정화 관계기관 협의회’를 열고, 도내 주택시장 동향과 미분양 해소 방안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이날 회의에는 대한주택건설협회 울산경남도회, 대한건축사협회 경남건축사회, 한국공인중개사협회 경남도회, 한국토지주택공사(LH) 경남지역본부, 경남개발공사, 창원시 등 8개 시군 관계자가 참석했다.
회의에서는 도내 주택매매는 여전히 공급이 수요를 웃돌고 있지만, 전·월세는 수요가 꾸준해 실수요는 유지되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다만, 2~3분기에는 그간 미뤄졌던 청약 및 준공 물량이 본격적으로 풀릴 것으로 보여 미분양 증가가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됐다.
경남 각 시군은 인허가 물량 조절, 임대 전환 등 미분양 해소를 위한 조치를 시행 중이다. 김해시는 일부 분양 단지를 임대 분양으로 전환하며 적극 대응하고 있다.
지방 차원의 대응이 한계에 이르렀다는 공감대도 형성됐다. 참석자들은 중앙정부에 세제 혜택 등 실효성 있는 대책 마련을 건의해야 한다는 데 뜻을 모았다.
대한주택건설협회 경남도회는 LH의 미분양 주택 매입 물량을 현행 3천호에서 5천호로 확대하고, 장기 미분양 주택을 우선 매입할 수 있도록 기준을 완화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한편, 경남도는 지난 15일 대구에서 부산·울산과 함께 미분양 대책회의를 열고 지방의 심각한 분양 침체 상황을 공유했다.
이들 시도는 세제 감면,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완화 등 실질적 대책이 필요하다는 데 공감하고, 공동으로 정부에 건의할 방침이다.
신종우 경남도 도시주택국장은 “주택매매는 침체됐지만 실수요는 유지되고 있다”며 “영남권 시도와 함께 중앙정부에 대책을 촉구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